본문 바로가기
Spring boot 프로젝트 기록/기본적인 기초 공부

로컬 스토리지

by 으노으뇨 2021. 12. 15.
728x90
반응형
SMALL

여기서 궁금증!!!!

과연 우리가 로그인하고, 상태값이라던가, 정보라던가, 내활동 기록들 등등이 어디에 기록될까요?

계속 DB에 왔다갔다하면서 로그인이 되어있으면 

로그인관련 테이블의 로그인유무에 대한 컬럼의 row가 0, 1 로 계속 기록되는걸까요?

웹 스토리지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데이터를 key-value 형태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쿠키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될것같습니다. 

웹 스토리지에는 두 종류가 있습니다. 

세션스토리지, 로컬 스토리지

세션 스토리지는 브라우저를 닫으면 사라지고

로컬 스토리지는 브라우저를 닫아도 사라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재시작할 때마다 로그인하게 하고 싶으면 세션 스토리지를, 

브라우저를 재시작해도 로그인 상태를 유지하고 싶으면 로컬 스토리지를 사용하면 됩니다!

브라우저의 개발자 도구에서 콘솔을 키고 한번 살펴보도록 할까요~~~?

localStorage.setItem('hello','world')
localStorage.getItem('hello')
localStorage

콘솔창으로 입력을 해보겠습니다.!!

차례대로 실행한 것입니다. 

그 과정에서 로컬 스토리지에 아이템이 어떻게 저장되는지, 어떻게 원하는 아이템을 가져올 수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혹시' 이렇게 다른 웹 애플리케이션이 내 로컬 스토리지에 마음대로 접근할 수 있는게 아닐까요???"

라고 궁금증이 들 수도있습니다.

웹 개발자모드의 Application 어플리케이션 탭으로 가보겠습니다.

로컬 스토리지는 도메인 마다 따로 저장됩니다.

따라서 도메인의 자바스크립트는 다른 도메인의 로컬 스토리지를 알지 못합니다.

그럼 앞으로 스프링부트-프론트엔드개발 실습에서 

토큰을 로컬 세션에 넣어주고 그것을 두구두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해보도록 하는데

유용한 개념을 배우고 실습을 하러 가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Spring boot 프로젝트 기록 > 기본적인 기초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RS란?  (0) 2021.12.17
React-router-dom 라이브러리가 필요한 이유  (0) 2021.12.14
JSON 웹 토큰  (0) 2021.12.11
토큰 기반 인증  (0) 2021.12.08
Basic 인증  (0) 2021.12.0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