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리눅스24

[NFS서버 설치와 운영-1] NFS 서버 개념 - NFS서버 설치와 운영 이번엔 파일서버의 다른 종류인 NFS 서버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고자합니다. 진행순서 NFS서버 개념 NFS서버 설치와 설정 클라이언트에서 접속 이렇게 총 3가지 순서로 진행하겠습니다. NFS 서버 개념 어려운 느낌의 개념은 다른 백서나 위키, 블로그를 참고하시면 되고 저는 초보자 비전공자, 아무런 관련이없는 사람들이 알아들을수 있고 면접시 누군가 물어보면 답할정도로 정리만 하고있습니다. 참고해주세요 파일서버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이는 우리가 사용하는 PC에는 여유공간이 별로없지만 다른 한곳에는 용량이 많다면 우리는 그 용량이 많은것을 공유 하고 싶어집니다. 또 서로 여유 공간이 있더라도 공통으로 사용되는 파일이라면 각자의 컴퓨터에 해당 파일을 모두 저장하기 보다는 1대의 PC에만 저장을하고 그것을 공유하.. 2023. 2. 5.
[FTP서버 설치와 운영-1] FTP 서버 설치 및 환경설정 - FTP서버 설치와 운영 FTP (File Transfer Protocal)는 파일을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전용 서비스입니다. 예전에는 널리 사용하였으나, 웹환경이 일반화 되면서 FTP의 고유 기능인 파일 전송을 웹에서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되어서 인기가 많이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성능이 매우 뛰어나므로 파일 전송이 목적이 사이트에서는 이 서비스를 계속 제공하고 있다. [FTP서버 설치와 운영-1] FTP 서버 설치 및 환경설정 - FTP서버 설치와 운영 진행순서 vsftpd 설치와 설정 FTP 서버 접속 ProFTPD설치와 운영 vsfpd (Very Secure FTPD) 는 우분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며, 리눅스와 유닉스 환경에서 보안성과 성능이 우수한 FTP 서버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vsftpd는 설치, 운영이 쉬우므로.. 2023. 2. 1.
[웹 서버 설정 파일과 폴더] 웹 서버 설정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 진행 순서 필수 소프트웨어 설치 및 환경설정 웹사이트 구축 클라우드 서비스 설치 및 운영 웹 서버 설정과 파일폴더 주로 헷갈리거나 리눅스 아파티 환경에서 주로 사용하는 설정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고급 웹 서비스를 구현하려면 웹 서버 설정 파일인 /etc/apache2/apache2.conf 파일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아파티 웹 설정은 /etc/apache2/ 디렉터리에 여러개의 파일로 분리, 저장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파일 및 디렉터리 구조를 가진다. 아파치 웹 서버의 주 설정 파일인 apache2.conf 의 주요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ServerRoot "/etc/apache2" 웹 서버의 설정 파일, 로그 파일 등이 저장되는 최상위 디렉터리 Listen 80 웹 서버의 포.. 2023. 1. 31.
[메일서버구현-3] 설치완료한 메일서버 - 네임서버 구축 / 리눅스 메일서버 설치와 운영 지난글 : 리눅스 GUI 환경에서 메일서버 설치하기 https://uno-kim.tistory.com/308 [메일서버구현-1] 메일 서버 설치와 설치 전 준비 / 리눅스 메일서버 설치와 운영 이번 포스팅에서는 설치와 설치전 사전 준비단계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제 이름으로 만든 메일서버 1개를 설치하고, 설정, 테스트를 진행하고 unomail.com을 도메인주소로 가지는 메일서버와 unotist uno-kim.tistory.com 지난글 : 리눅스 텍스트 모드에서 메일서버 설치하기 https://uno-kim.tistory.com/309 [메일서버구현-2] 리눅스 텍스트모드에서 메일 서버 설치와 설치 전 준비 / 리눅스 메일서버 설치 지난글 : 리눅스 GUI환경에서 메일서버 구축 https://uno-k.. 2023. 1. 10.
[메일서버구현-1] 메일 서버 설치와 설치 전 준비 / 리눅스 메일서버 설치와 운영 이번 포스팅에서는 설치와 설치전 사전 준비단계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제 이름으로 만든 메일서버 1개를 설치하고, 설정, 테스트를 진행하고 unomail.com을 도메인주소로 가지는 메일서버와 unotistory.com 이라는 메일서버를 만들어보겠습니다. 이렇게 서로 다른 다른 메일 서버를 리눅스 텍스트모드와 각 환경에 설치하고 설정, 테스트를 진행하고 unomail.com : 리눅스GUI 환경에서 진행 unotistory : 리눅스 텍스트 모드 환경에서 진행 그렇게 두개의 서버간 통신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진행순서 내 이름으로 된 메일서버를 만든다. 두 번째 메일서버를 만든다. (리눅스 텍스트모드) 두 네임서버에 대한 환경설정 구축한 메일서버 설정 구축한 메일서버 테스트 다른 메일서버도 구축(리.. 2023. 1. 9.
[서버구축-2] 리눅스 텍스트모드에서 구축한 네임서버 접속하기 / 리눅스 네임 서버 구축 지난글 : 리눅스 네임서버 구축하기 https://uno-kim.tistory.com/295 [서버구축-1] 캐싱 전용 네임 서버 구축 / 리눅스 네임 서버 구축 네임서버를 설치하고 관련된 설정을 진행한다. 네임 서버 설치 설정파일을 열어 설정 변경 작동시켜보기 테스트 실제 사용 이렇게 총 4단계로 진행한다. 1. 네임 서버 설치 네임 서버와 관련된 uno-kim.tistory.com 이번엔 구축한 네임서버를 외부 ( 텍스트 모드 )에서 접속을 해보자. 1. 리눅스 텍스트 모드 접속 2. nano 에디터로 /etc/resolv.conf 파일을 열고, 설정을 변경한다. 여기 내용을 변경한다. 127.0.0.53 -> 192.168.111.55 으로 변경한다. 3. nslookup을 이용해서 작동확인 2022. 12. 28.
[서버구축-1] 캐싱 전용 네임 서버 구축 / 리눅스 네임 서버 구축 네임서버를 설치하고 관련된 설정을 진행한다. 네임 서버 설치 설정파일을 열어 설정 변경 작동시켜보기 테스트 실제 사용 이렇게 총 4단계로 진행한다. 1. 네임 서버 설치 네임 서버와 관련된 패키지 설치 apt -y install bind9 bind9utils 2. 설정파일을 열어 설정 변경 캐싱 전용 네임서버와 관련된 설정 파일인 /etc/bind/named.conf.options 를 편집기를 열어서 변경한다. vi /etc/bind/named.conf.options 기존 dnssec-validation auto -> no 추가 recursion yes; 추가 allow-query { any; }; 이렇게 추가한다. 지금 편집한 내용은 VMware가 사용하는 가상머신의 네트워크 주소에 있는 모든 컴퓨터가.. 2022. 12. 28.
[프로그래밍] eval 함수 , export 함수 / 리눅스 셸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eval함수 , export함수 eval함수 문자열을 명령문으로 인식하고 실행한다. 소스설명 3행 : str 변수의 값인 'ls -l eval.sh'라는 글자를 그대로 출력한다. 4행 : str변수의 값인 'ls -l eval.sh' 를 명령으로 인식하고 실행한다. export 외부 변수로 선언한다. 즉 선언한 변수를 다른 프로그램에서도 사용가능하게끔 한다. 소스설명 exp1.sh 2행~3행 : var1과 var2 변수를 출력한다. var2는 exp2.sh 에서 외부 변수로 선언했다. exp2.sh 2행 : var1에 값을 넣는다. 일반 변수 ( 지역변수) 이므로 현재 프로그램인 exp2.sh에서만 사용된다. 즉, exp1.sh 의 var1과는 우연히 이름만 같을 뿐 다른 변수다. exp2.sh 3행 : var2를 외부 변수로 선언하고.. 2022. 12. 22.
[bash셸] 리눅스 셸 프로그래밍 / bash 셸의 이해 셸은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해석해 커널로 전달하거나, 커널의 처리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우분투의 bash 셸 우분투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셸은 bash이다. (이걸 배시 셸 이라고 한다.) 이는 BourneShell을 기반으로 Korn Shell과 C shell의 좋은 점을 합한 것으로 보면 된다. bash의 특징 Alias 기능 (명령 단축 기능) History 기능 연산 기능 Job Control 기능 자동 이름 완성 기능 프롬프트 제어 기능 명령 편집 기능 * alias 명령은 긴 명령을 줄여서 사용할 때 편리하다. 예를들어 ls -al 명령을 ls2라는 명령으로 사용하고 싶다면 alias ls2="ls -al" 명령으로 정의하면 된다. 셸의 명령문 처리 방법 셸 명령문은 명.. 2022. 12. 20.
[개념] 리눅스의 서비스와 소켓 서비스 데몬이라고도 부르는 서비스는 서버 프로세스를 말한다. 즉 서비스는 웹 서버, 네임 서버, DB 서버 등의 프로세스를 지칭한다. 또는 웹 서버 데몬, 네임 서버 데몬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서비스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현재 시스템에서 동작 중인 프로세스이므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 서비스와 소켓 서비스는 평상시에도 늘 가동하는 서버 프로세스이며, 소켓은 필요할 때만 작동하는 서버프로세스이다. 서비스와 소켓은 systemd라는 서비스 매니저 프로그램으로 작동시키거나 관리한다. *systemd 는 운영체제의 가장 처음에 시작되는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우분투 15.0.4부터 systemd의 모든 기능이 작동되며, systemd가 서비스대부분을 관리한다.​ 서비스 서비스의 특징 시.. 2022. 12. 19.
[실제구동] 포그라운드 프로레스와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무한 루프를 도는 프로세스를 중지 하는 방법 터미널에서 yes > /dev/null​ 명령으로 무한 루프를 도는 단순한 프로세스를 생성 명령프롬프트 창을 하나더 열어서 ps -ef | grep yes​ 명령으로 프로세스 번호를 확인한다. 사진을 보면 제일 앞에 나오는 root는 소유주, 그 다음 3404는 프로세스 번호, 3393은 부모 프로세스 번호이다. 프로세스 번호를 확인했다면 kill -9 프로세스 번호​ 명령으로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kill 명령어로 프로세스를 종료하면 기존의 다른 터미널에서 실행되던 것이 자동으로 종료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현재 작동중인 포그라운드 프로세스를 그냥 종료하려면 프로세스가 실행되고 있는 터미널에서 컨트롤+C 를 눌러도 된다. 포그라운드 프로세스 -> 백그라.. 2022. 12. 18.
[네트워크 설정] DNS 서버설정을 통해 서버상태 확인하기 인터넷이 안될 경우 DNS 서버의 고장 대문인지, 아니면 다른 문제 인지 확인해봐야한다. 또는 DNS 서버를 직접 구축한 후 제대로 작동하는지 테스트할 때도 사용하는 방법이다. DNS 서버에 일부러 문제를 발생시켜서 확인하는 방법으로 진행하겠습니다. 현재 네트워크 상태가 정상적인지 확인한다. 이번에는 DNS 서버에 일부러 DNS 서버에 문제를 발생시켜 보겠습니다. nano나 gedit으로 /etc/resolv.conf 파일을 열어서 127.0.0.xx 를 100.100.100.100으로 고친 후 저장하고 닫아보겠습니다. 아까 킨 웹브라우저를 닫고 다시 실행한 후 www.nate.com 접속해보겠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인터넷이 되지 않으면 DNS 서버 문제인지, IP 설정이 잘못 되었는지 바로 알기 가 어.. 2022. 12. 18.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