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리눅스 서버12 [FTP서버 설치와 운영-3] ProFTPD 설치하고 운영 - FTP서버 설치와 운영 FTP (File Transfer Protocal)는 파일을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전용 서비스입니다. 예전에는 널리 사용하였으나, 웹환경이 일반화 되면서 FTP의 고유 기능인 파일 전송을 웹에서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되어서 인기가 많이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성능이 매우 뛰어나므로 파일 전송이 목적이 사이트에서는 이 서비스를 계속 제공하고 있다. [FTP서버 설치와 운영-1] FTP 서버 설치 및 환경설정 - FTP서버 설치와 운영 진행순서 vsftpd 설치와 설정 FTP 서버 접속 ProFTPD설치와 운영 ProFTPD 설치 apt -y install proftpd 명령으로 proftpd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환경설정 gedit /etc/proftpd/proftpd.conf 명령으로 설정으로 엽니다. 1.. 2023. 2. 1. [개념] 라운드 로빈 방식의 네임 서버 / 리눅스 네임 서버 구축 및 설치 라운드 로빈 방식의 네임 서버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포털 사이트의 웹 서버에는 수 십만 이상의 접속이 동시에 일어날 것이다. 따라서 1대가 아닌 여러 대의 웹 서버를 운영해서 웹 클라이언트가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교대로 서비스를 실행할 것이다. 그러면 웹 서버의 부하를 여러 대가 공평하게 나눌 수 있다. 이런한 방식을 라운드 로빈 방식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외부 사용자는 결국 john.com 네임 서버에 www.john.com 의 IP 주소를 요청하게 될 것이다. 이때 www.john.com 에 대당하는 웹 서버를 3대 운영한다고 가정하고 각각의 IP 가 1.1.1.1 1.1.1.2 1.1.1.3 이라면 john.com 네임 서버는 물어오는 순서대로 1.1.1.1 > 1.1.1.2. > 1.1.1.3.. 2023. 1. 3. [개념] 마스터 네임 서버 / 리눅스 네임 서버 구축 마스터 네임 서버 마스터 네임 서버는 unokim.com 과 같은 도메인에 속해 있는 컴퓨터들의 이름을 관리하고 외부에서 www.unokim.com이나 나 ftp.unokim.com 등 컴퓨터 IP 주소를 알고자 할 때 해당 컴퓨터의 IP 주소를 알려주는 네임 서버를 말한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unokim.com 이라는 도메인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하려면 unokim.com 네임 서버를 구축해서 외부에서 www.unokim.com 이나 ftp.unokim.com 등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야한다. 아래는 마스터 네임 서버의 구성도이다. 1 우선 테스트하기 위해 FTP 서버도 하나 설치를 리눅스 텍스트모드에 설치하고, 리눅스에는 네임 서버와 웹 서버를 설치한다. 그리고 Server의 네임 서버 설정에서 ww.. 2022. 12. 29. [개념] 로컬 네임 서버가 작동하는 순서 / 리눅스 네임 서버 구축 로컬 네임 서버가 작동하는 순서 리눅스에서는 각자 사용하는 네임서버가 /etc/resolve.conf 파일에 'nameserver IP 주소'형식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네임 서버를 로컬 네임 서버라고 부른다. 그래서 www.naver.com의 IP 주소를 요구하면 이 로컬 네임서버에 질문하는 것이다. 그런데 로컬 네임 서버는 의외로 별로 아는 것이 별로 없다. 로컬 네임 서버가 혼자서 전 세계 모든 컴퓨터의 도메인 이름을 관리할 수 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로컬 네임 서버는 자신이 아는 도메인 이름이라면 바로 알려주지만, 자신이 모를 경우에는 아래 그림과 같이 작업을 수행한다. ( 이런 경우가 대부분을 것이다.) PC의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서 www.naver.com을 입력한다. PC 가 리눅스일 경.. 2022. 12. 26. [개념] 네임서버 구축전 확인사항 / 리눅스 네임서버 구축전 확인 IP 주소를 얻는 흐릅에 대해 한번 해보고 도메인 이름 체계에 대해 리눅스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etc/hosts/ 파일의 설정과 네임 서버 설정을 확인 nslookup 을누르고 > server 를 입력 현재 PC가 사용하는 네임 서버의 IP정보를 확인해 본다. nslookup 명령을 입력하면 다음 server를 입력해서 현재 이 우분투상의 네임서버를 확인한다. 이어서 www.naver.com, www.google.com, www.github.com/의 IP 주소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각 회사마다 웹 서버를 운영하는 몇 가지 방식이 있는데, 구글의 경우는 2개가 있다. 여튼 실행 결과를 보면 현재 server가 사용하는 네임 서버의 IP 주소는 127.0.0.53 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 2022. 12. 23. [개념] 네임서버란? / 리눅스 네임 서버 개요 인터넷을 사용할 경우 흔히 URL이라고 부르는 주소를 이용한다. 웹 브라우저의 주소 창에 https://www.naver.com 을 입력하면 네이버에서 운영하는 웹 서버로 접속한다. 하지만 원칙적으로 인터넷으로 www.naver.com 이라는 문자로는 네이버 웹 서버에 접근할 수 없다.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는 자신만의 유일한 IP 주소가 있고, 해당 IP 주소를 알아야 해당 컴퓨터에 접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네임 서버 개요 네임 서버는 DNS 서버라고도 한다. 우리가 웹 브라우저나 FTP클라이언트를 사용할 때 https://www.naver.com 또는 fp://mirrors.kernel.ofg 등과 같은 URL을 사용한다. 실제 원하는 서버에 접근하려면 이 URL을 해당 컴퓨터의 IP 주소로.. 2022. 12. 23. [텔넷 서버] 텔넷 서버와 서버/클라이언트 개념 / 리눅스 텔넷 서버 서버 / 클라이언트 개념 서버(server) / 클라이언트 (Client)는 아주 흔한 용어지만, 처음 서버를 구축하는 사람들은 개념이 완전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많은 사람이 네이버(www.naver.com)를 사용하는데 이것 역시 서버/클라이언트의 개념이다. 네이버라는 웹 서버(리눅스 웹 서버라 가정할게요)가 작동하고 있고, 사람들은 웹 브라우저 (크롬, 엣지, 네이버웨일 등)라는 웹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웹 서버에 접속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서버 프로그램이 작동할 때 서버를 사용하려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텔넷 서버도 마찬가지다. 텔넷 서버 프로그램이 작동할 때 텔넷 서버에 접속하려면 텔넷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있어야한다. 대부분의 다른 서버 프로그램도 각각의 클라이.. 2022. 12. 22. [텔넷서버] 텔넷 서버 개요 / 리눅스 텔넷 서버 텔넷은 오랫동안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원격 접속 방법이다. 좀 오래되어 보안 등에 취약하기 때문에 요즘은 텔넷만 사용하지 않으며, 텔넷에 보안 기능을 더해서 사용한다. 즉 텔넷은 가장 기본적인 것이다. 텔넷 서버 리눅스 서버에 텔넷 서버를 설치했다면, 원격지에서 리눅스 서버에 접속할 PC 에도 텔넷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 되어있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운영체제에 기본적으로 텔넷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내장되어있으므로 별 문제는 없다. 원격지의 PC (텔넷 클라이언트)에서 리눅스 서버에 접속하면 서버 앞에 앉아서 직접 텍스트 모드로 작업하는 것과 완전히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2022. 12. 22. [개념] 파이프/필터/리디렉션 리눅스의 기본 동작과 관련하여 중요한 개념인 파이프와 필터, 리디렉션을 이해해보자. 파이프 파이프란 2개의 프로그램을 연결하는 연결통로로 의미한다. ' | ' 를 사용함 (시프트 + \ ) 를 누른글자 ls -l /etc | less ls-l /etc 명령을 입력하면 파일이 너무 많이서 1페이지에 모두 담을 수 없으므로, 1페이지씩 나눠서 보겠다는 의미이다. 필터 필터란 필요한 것만 걸러주는 명령어다. grep, tail, wc, sort, awk, sed 명령어 등이 있다. 주로 파이프와 같이 사용된다. ps -ef | grep bash ps -ef 명령을 입력하면 모든 프로세스 번호를 출력하므로, bash 라는 글자가 들어간 프로세스만 출력한다. 리디렉션 리디렉션은 표준 입출력의 방향을 바꿔준다. 표.. 2022. 12. 18. [네트워크 설정] DNS 서버설정을 통해 서버상태 확인하기 인터넷이 안될 경우 DNS 서버의 고장 대문인지, 아니면 다른 문제 인지 확인해봐야한다. 또는 DNS 서버를 직접 구축한 후 제대로 작동하는지 테스트할 때도 사용하는 방법이다. DNS 서버에 일부러 문제를 발생시켜서 확인하는 방법으로 진행하겠습니다. 현재 네트워크 상태가 정상적인지 확인한다. 이번에는 DNS 서버에 일부러 DNS 서버에 문제를 발생시켜 보겠습니다. nano나 gedit으로 /etc/resolv.conf 파일을 열어서 127.0.0.xx 를 100.100.100.100으로 고친 후 저장하고 닫아보겠습니다. 아까 킨 웹브라우저를 닫고 다시 실행한 후 www.nate.com 접속해보겠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인터넷이 되지 않으면 DNS 서버 문제인지, IP 설정이 잘못 되었는지 바로 알기 가 어.. 2022. 12. 18. [네트워크 설정] 네트워크 설정파일을 변경하고 설정하는 법 리눅스네트워크 설정파일을 변경하고 설정하는 법 터미널을 열고 nm-connection-editor명령어를 입력 [네트워크 연결] 창에서 설정된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해본다. 현재 눌렀을때 보통 위와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네트워크 열결] 창에서 설정 아이콘을 클릭하고, [IPv4 설정] 탭을 선택한다. 장치 이름은 '유선 연결' 1이며, IP 주소는 192.168.111.100, 넷마스크는 24(255.255.255.0)), 게이트웨이 주소와 DNS servers의 주소는 192.168.111.2로 설정되어 있다. 간단하게 [주소]를 192.168.111.55 로 변경하고 을 클릭해서 적용시킨다. *192.168.111.2는 VM웨어에서 가상으로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 DNS 서버 역할을 하는 고정된 IP.. 2022. 12. 18. [개념] 네트워크 관련 필수 개념 정리 처음 네트워크를 접하는 사람이라면 좀 어렵게 리눅스, 서버관리가 느껴질 수 있으므로 모두 외우지 않더라도 계속 짤막짤막하게 보고. 나중에 CS 지식으로 남으면 좋으니 네트워크 관련되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TCP/IP 컴퓨터끼리 네트워크상으로 의사소통하는 약속을 '프로토콜'이라고 부르는데, 그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 종류 중 하나이다. 통신의 전송/수신을 다루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와 데이터 통신을 다루는 IP(Internet Protocol)로 구성 된다. 호스트 이름과 도메인 이름 호스트 이름은 각각의 컴퓨터에 지정된 이름을 말한다. 도메인 이름( 또는 도메인 주소)은 hanbit.co.kr 과 같은 형식으로 표기하며 kr은 한국, co는 회사, han.. 2022. 12. 8.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