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리눅스공부/네임 서버 설치와 운영15 [서버구축-1] 라운드 로빈 방식의 네임서버 구현 / 리눅스 네임 서버 설치 및 구축 이전에 설치한 네임서버 https://uno-kim.tistory.com/302 서버구축-4]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 -3 - FTP 서버 설치 / 리눅스 마스터 네임 서버 구축 지난글 : 마스터 네임서버 도메인 설정 https://uno-kim.tistory.com/301 [서버구축-3]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 -3 - FTP 서버 설치 / 리눅스 마스터 네임 서버 구축 지난 글 FTP 서버 설처 https://uno-kim. uno-kim.tistory.com 라운드 로빈 방식의 네임 서버를 구현해 보겠습니다. 라운드 로빈 방식의 네임서버를 구현하려면 여러대의 웹 서버를 설치해서 운영합니다. 그러나 저의 환경에서는 완전하지 않아 이미 인터넷에 구현된 다른 웹사이트를 우리가 구현한 웹.. 2023. 1. 3. [개념] 라운드 로빈 방식의 네임 서버 / 리눅스 네임 서버 구축 및 설치 라운드 로빈 방식의 네임 서버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포털 사이트의 웹 서버에는 수 십만 이상의 접속이 동시에 일어날 것이다. 따라서 1대가 아닌 여러 대의 웹 서버를 운영해서 웹 클라이언트가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교대로 서비스를 실행할 것이다. 그러면 웹 서버의 부하를 여러 대가 공평하게 나눌 수 있다. 이런한 방식을 라운드 로빈 방식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외부 사용자는 결국 john.com 네임 서버에 www.john.com 의 IP 주소를 요청하게 될 것이다. 이때 www.john.com 에 대당하는 웹 서버를 3대 운영한다고 가정하고 각각의 IP 가 1.1.1.1 1.1.1.2 1.1.1.3 이라면 john.com 네임 서버는 물어오는 순서대로 1.1.1.1 > 1.1.1.2. > 1.1.1.3.. 2023. 1. 3. 서버구축-4]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 -3 - FTP 서버 설치 / 리눅스 마스터 네임 서버 구축 지난글 : 마스터 네임서버 도메인 설정 https://uno-kim.tistory.com/301 [서버구축-3]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 -3 - FTP 서버 설치 / 리눅스 마스터 네임 서버 구축 지난 글 FTP 서버 설처 https://uno-kim.tistory.com/300 [서버구축-2]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 -2 - FTP 서버 설치 / 리눅스 마스터 네임 서버 구축 지난 글 웹 서버 설치 및 설정 : https://uno-kim.tistory.co uno-kim.tistory.com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하는 것에 대해서는 웹 서버 설치, 설정 FTP 서버 설치 도메인 설정 작동확인 네임 서버 사용 이번 포스팅은 4번째 구축한 네임서버 작동확인과 5번째 마스터네임 .. 2023. 1. 2. [서버구축-3]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 -3 - FTP 서버 설치 / 리눅스 마스터 네임 서버 구축 지난 글 FTP 서버 설처 https://uno-kim.tistory.com/300 [서버구축-2]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 -2 - FTP 서버 설치 / 리눅스 마스터 네임 서버 구축 지난 글 웹 서버 설치 및 설정 : https://uno-kim.tistory.com/299 [서버구축-1]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 -1 - 웹 서버 설치 / 리눅스 마스터 네임 서버 구축 https://uno-kim.tistory.com/298 [개념] 마스터 네 uno-kim.tistory.com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하는 것에 대해서는 웹 서버 설치, 설정 FTP 서버 설치 도메인 설정 작동확인 네임 서버 사용 이번 포스팅은 3번째 도메인 설정입니다. 1. john.com 도메인에 대해 설정.. 2023. 1. 1. [서버구축-2]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 -2 - FTP 서버 설치 / 리눅스 마스터 네임 서버 구축 지난 글 웹 서버 설치 및 설정 : https://uno-kim.tistory.com/299 [서버구축-1]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 -1 - 웹 서버 설치 / 리눅스 마스터 네임 서버 구축 https://uno-kim.tistory.com/298 [개념] 마스터 네임 서버 / 리눅스 네임 서버 구축 마스터 네임 서버 마스터 네임 서버는 unokim.com 과 같은 도메인에 속해 있는 컴퓨터들의 이름을 관리하고 외부에서 www.un uno-kim.tistory.com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하는 것에 대해서는 웹 서버 설치, 설정 FTP 서버 설치 도메인 설정 작동확인 네임 서버 사용 이번 포스팅은 2번째 FTP 서버 설치 및 설정입니다. 2. FTP 서버 설치 서버 설치는 리눅스 텍스트모.. 2022. 12. 31. [서버구축-1]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 -1 - 웹 서버 설치 / 리눅스 마스터 네임 서버 구축 https://uno-kim.tistory.com/298 [개념] 마스터 네임 서버 / 리눅스 네임 서버 구축 마스터 네임 서버 마스터 네임 서버는 unokim.com 과 같은 도메인에 속해 있는 컴퓨터들의 이름을 관리하고 외부에서 www.unokim.com이나 나 ftp.unokim.com 등 컴퓨터 IP 주소를 알고자 할 때 해당 컴퓨터의 uno-kim.tistory.com 마스터 네임의 개념에 대해 이전글에 자세히 작성했습니다.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하는 것에 대해서는 웹 서버 설치, 설정 FTP 서버 설치 도메인 설정 작동확인 네임 서버 사용 이렇게 총 5가지로 진행됩니다. 1. 웹 서버 설정 apt -y install apache2 apt -y install apache2 명령으로 웹 .. 2022. 12. 31. [개념] 마스터 네임 서버 / 리눅스 네임 서버 구축 마스터 네임 서버 마스터 네임 서버는 unokim.com 과 같은 도메인에 속해 있는 컴퓨터들의 이름을 관리하고 외부에서 www.unokim.com이나 나 ftp.unokim.com 등 컴퓨터 IP 주소를 알고자 할 때 해당 컴퓨터의 IP 주소를 알려주는 네임 서버를 말한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unokim.com 이라는 도메인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하려면 unokim.com 네임 서버를 구축해서 외부에서 www.unokim.com 이나 ftp.unokim.com 등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야한다. 아래는 마스터 네임 서버의 구성도이다. 1 우선 테스트하기 위해 FTP 서버도 하나 설치를 리눅스 텍스트모드에 설치하고, 리눅스에는 네임 서버와 웹 서버를 설치한다. 그리고 Server의 네임 서버 설정에서 ww.. 2022. 12. 29. [서버구축-3] 윈도우즈에서 구축한 네임서버 접속하기 / 리눅스 네임 서버 구축 네임서버 구축 한 지난글 : https://uno-kim.tistory.com/295 [서버구축-1] 캐싱 전용 네임 서버 구축 / 리눅스 네임 서버 구축 네임서버를 설치하고 관련된 설정을 진행한다. 네임 서버 설치 설정파일을 열어 설정 변경 작동시켜보기 테스트 실제 사용 이렇게 총 4단계로 진행한다. 1. 네임 서버 설치 네임 서버와 관련된 uno-kim.tistory.com 윈도우즈 클라이언트에서 리눅스에서 설정한 네임 서버를 이용하게 해보겠습니다. window에서 [제어판 ]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 [ 네트워크 상태 및 작업 보기 ] -> [ethernet0]을 클릭해서 [Ethernet 상태]를 실행합니다. 1. 제어판 들어가기 2. 네트워크 설정 들어가기 3. 네트워크 상태 및 작업.. 2022. 12. 28. [서버구축-2] 리눅스 텍스트모드에서 구축한 네임서버 접속하기 / 리눅스 네임 서버 구축 지난글 : 리눅스 네임서버 구축하기 https://uno-kim.tistory.com/295 [서버구축-1] 캐싱 전용 네임 서버 구축 / 리눅스 네임 서버 구축 네임서버를 설치하고 관련된 설정을 진행한다. 네임 서버 설치 설정파일을 열어 설정 변경 작동시켜보기 테스트 실제 사용 이렇게 총 4단계로 진행한다. 1. 네임 서버 설치 네임 서버와 관련된 uno-kim.tistory.com 이번엔 구축한 네임서버를 외부 ( 텍스트 모드 )에서 접속을 해보자. 1. 리눅스 텍스트 모드 접속 2. nano 에디터로 /etc/resolv.conf 파일을 열고, 설정을 변경한다. 여기 내용을 변경한다. 127.0.0.53 -> 192.168.111.55 으로 변경한다. 3. nslookup을 이용해서 작동확인 2022. 12. 28. [서버구축-1] 캐싱 전용 네임 서버 구축 / 리눅스 네임 서버 구축 네임서버를 설치하고 관련된 설정을 진행한다. 네임 서버 설치 설정파일을 열어 설정 변경 작동시켜보기 테스트 실제 사용 이렇게 총 4단계로 진행한다. 1. 네임 서버 설치 네임 서버와 관련된 패키지 설치 apt -y install bind9 bind9utils 2. 설정파일을 열어 설정 변경 캐싱 전용 네임서버와 관련된 설정 파일인 /etc/bind/named.conf.options 를 편집기를 열어서 변경한다. vi /etc/bind/named.conf.options 기존 dnssec-validation auto -> no 추가 recursion yes; 추가 allow-query { any; }; 이렇게 추가한다. 지금 편집한 내용은 VMware가 사용하는 가상머신의 네트워크 주소에 있는 모든 컴퓨터가.. 2022. 12. 28. [개념] 캐싱 전용 네임 서버 / 리눅스 네임 서버 구축 캐싱 전용 내임 서버 캐싱 전용 네임 서버는 PC에서 URL 로 IP 주소를 얻고자 할 때, 해당하는 URL의 IP 주소를 알려주는 네임 서버를 말한다. 예로 들면 '로컬 네임 서버' 라고 지칭한 컴퓨터가 캐싱 전용 네임 서버의 역할을 수행한다. 원래 Client와 Server(B) 에 설정된 DNS 서버는 외부에서 운영되는 네임 서버인 192.168.111.2 ( resolv.conf 에는 127.0.0.xx 로 적혀있음)로 설정되어 있다. 이제는 이를 사용하지 않고 우리가 직접 구축할 네임 서버 ( 192.168.111.100)을 이용해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지금 외부에서 운영되는 네임 서버의 IP를 192.168.111.2 라고 했다. 이는 VMWare 가 운영해주는 가상의 네임.. 2022. 12. 28. [개념] 로컬 네임 서버가 작동하는 순서 / 리눅스 네임 서버 구축 로컬 네임 서버가 작동하는 순서 리눅스에서는 각자 사용하는 네임서버가 /etc/resolve.conf 파일에 'nameserver IP 주소'형식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네임 서버를 로컬 네임 서버라고 부른다. 그래서 www.naver.com의 IP 주소를 요구하면 이 로컬 네임서버에 질문하는 것이다. 그런데 로컬 네임 서버는 의외로 별로 아는 것이 별로 없다. 로컬 네임 서버가 혼자서 전 세계 모든 컴퓨터의 도메인 이름을 관리할 수 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로컬 네임 서버는 자신이 아는 도메인 이름이라면 바로 알려주지만, 자신이 모를 경우에는 아래 그림과 같이 작업을 수행한다. ( 이런 경우가 대부분을 것이다.) PC의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서 www.naver.com을 입력한다. PC 가 리눅스일 경.. 2022. 12. 26.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