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공공부/블록체인공학

블록체인의 개념과 생성과정 - 연습문제

by 으노으뇨 2021. 10. 7.
728x90
반응형
SMALL

1. 블록체인 생성과정

처음에는 거래가 생성이 되고,

두 번째는 블록에 저장이 되고,

세 번째는 검증을 하고

네 번째는 블록체인에 연결하고

다섯 번째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아닌데 퍼블릭 블록체인 같은 경우에는 블록을 생성한 것에 대해서, 즉 채굴한 것에 대해서 보상, 그리고 거래를 인정하는 과정까지 있다.

2. 블록해시가 무엇인가?

블록은 블록헤더와 거래내용이 있는데 블록헤더에는 버전이나 이전 블록해시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이게 A라고 한다면 이게 바로 입력값이 돼서 나온 암호화된 결과, 이게 바로 블록해시이다.

 이 사용하는 함수는 SHA256이라고 하는 것을 사용한다.

3. 블록헤더에 저장된 내용들은 무엇이 있는가?

첫 번째는 버전

그래서 현재 비트코인 프로그램의 버전 또는 현재 블록체인 프로그램의 버전,

두 번째는 이전 블록을 해싱한 이전 블록의 해시값,

세 번째는 머클트리의 루트값

네 번째는 타임스템프.

다섯 번째는 난이도, 어떤 해시의 목표값, 이 목표값은 계속 변하고한다. 쉽게 말해서

"블록을 찾는 시간이 블록 하나에 10분이라고 이야기를 했는데, 수학퍼즐이 너무 쉽다?. 그러면 블록을 빨리 찾는다. 블록생성을 빨리하게된다. 이때 조금씩 난이도를 높이게 된다."

그런데 보통 블록이 10분에 하나 나올 수 있도록 그렇게 난이도를 조정한다.

그리고 여섯 번째는 논스값이 있다.

이 모두를 입력값으로 해서 어떤 블록해시값이 나오는데 이 블록해시값이 나올 수 있도록, 입력값이 지금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개가 들어가고. 값들이 나올 수 있도록 하는 이 논스값을 찾는 작업을 바로 우리가 채굴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이다. 마이닝

4. 중앙집중시스템의 문제점은?

수수료가 발생한다

. 두 번째는 보안의 위협.

 거래내역에 대해서 위변조가 가능하다.

5. 빈칸을 채우세요,

더보기

분산네트,워크 환경에 연결된 모드 노드에 (      )공유방식으로 거래내역 분산 저장 및 공유 제 3자의 개입이나 관리가 필요 없는 분산 장부, 거래의 최소단위는 (         )임 다수의 트랜잭션을 묶어 하나의 블록을 구성하고 연결함

1. 분산 공유 방식 : 거래내역을 분산 저장하고 공유하고 그리고 제3자의 개입이나 관리가 필요 없는 분산 장부를 우리는 블록체인이라고 한다.

2. 트랜젝션

6. 블록체인 기술의 특징에 대한 설명입니다. 빈칸을 채우세요

7. 다음에서 설명하는 게 무엇인가?

더보기

누구나 다양한 컴퓨터 장비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

각 노드는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를 복사, 저장, 해시 연산을 통해 새로운 블록의 생성에 참여

각 노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하지 않고 접속을 차단함으로 자유롭게 탈퇴

보상 : 각 노드는 컴퓨팅 파워 사용의 대가로 수수료를 받음(예 : 비트코인)

퍼블릭 블록체인.

8. 퍼블릭 블록체인에 대한 장단점.

장점 같은 경우에는 많은 사람이 참여한다. 많은 사람이 있기 때문에 투명하다.

단점 같은 경우에는 역시 많은 사람이 있기 때문에 검증하는 속도가 느리고, 이 많은 사람 중에 악의를 가진 어떤 위협자가 있을 수도 있다

9. 퍼블릭 블록체인의 대표적인 플랫폼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10. 퍼블릭 블록체인의 대표적인 합의알고리즘은?

PoW 그리고 PoS라고 해서 Proof Of Stake, 지분증명, 그리고 DPOS라는 (Delegate Proof Of Stake) 위임지분증명.

이게 바로 퍼블릭 블록체인의 대표적인 합의알고리즘이 되겠습니다.

11.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더보기

허가된 사람들만 네트워크에 참여

한 명의 주체로 부터 허가된 참여자만 참여하여 블록생성

운영과 참여의 주체가 분명하기에 블록 검증의 신뢰성 확보 가능

-> 채굴과 같은 방식의 인센티브제를 운영하지 않음

프라이빗 블록체인

12.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장-단점은?

장점은 허가받은 사람들만 참여하기 때문에 기밀성이 강화가 되고 그리고 허가받은 노드만 참여하기 때문에 처리속도가 굉장히 빠르다

단점이라고 한다면 일부 중앙화된 성격을 가질 수 있다고 하는 것.

13.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대표적인 플랫폼에 대해서 작성하시오

하이퍼레저, R3Corda, 넥스레저 등등 

14, 프라이핏 블록체인의 대표적인 합의알고리즘은?

PBFT(fully private blockchain)과 컨소시움 블록체인에 대해서 구분. fully private blockchain 같은 경우에는 하나의 기관에서 사용되는 블록체인, 데이터를 관리하고 검증하고 거래내역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중앙기관의 허가를 받아야 된다.

컨소시움은 여러 기관이 동일한 파워를 가지고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그리고 노드에서 특정 역할을 부여할 수 있는 통제권을 가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

 

 

728x90
반응형
LIST

'전공공부 > 블록체인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컨트랙트(2)  (0) 2021.10.23
스마트 컨트랙트(1)  (0) 2021.10.19
블록체인 합의 알고리즘- 연습문제  (0) 2021.10.07
블록체인 활용 사례  (0) 2021.10.07
합의 알고리즘  (0) 2021.10.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