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XML 개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 웹에서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한 범용 언어 |
XML 이란? - 확장 가능한 마크업 언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특징
- 개발자는 여러 가지 응용 프로그램으로 부터 구조화된 데이터를 로컬 컴퓨팅 및 프레젠테이션을 위해 데스크톱으로 전달할 수 있다.
- XML을 사용하여 특정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독특한 데이터 형식을 만들 수 있다.
- 서버 간의 구조화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이상적인 형식임
XML 탄생 배경
XML 탄생 배경 전 : HTML과 SGML 과 같은 언어 들이 있었다.
SGML | ISO에서 문서 작성을 위해 국제 표준으로 지정함 많은 장점이 있으나, 대중화 되기는 너무 복잡함 관련 툴이 너무 비싸서 대중화에 실패함 |
HTML | WWW 의 발달과 더불어 대중에화에 성공함 기술적인 면에서 미흡한 점이 많았다. |
XML 탄생 과정
1997년 9월 | 노트로 시작함 |
1997년 12월 | 후보 권고안(propose recommendation)을 발표함 |
1998년 2월 | XML 1.0 권고안을 발표함 |
2004년 2월 | XML 1.0 세번째 권고안을 발표함 - 현재 XML 권고안의 버전은 1.0 |
HTML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
인터넷 서비스의 하나인 World Wide Web을 통해 볼 수 있는 문서를 만들 때 사용하는 Markup언어의 한 종류 |
- 웹의 대중화에 가장큰 공헌을 한 것 중의 하나임
- 1990년대 초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 SGML의 한 응용으로 발표함
- 하이퍼 텍스트를 작성하기 위해 개발됨
- 인터넷에서 웹을 통해 접근되는 모든 웹페이지들은 HTML로 작성됨
- 사용의 용이성으로 웹의 대중화에 가장 큰 공헌을 함
HTML의 특징
- 구성 : ASCII 문자로 구성된 일반적인 텍스트
- 별도 컴파일러가 필요치 않음
- 웹 브라우저에서 해석이 가능한 사용하기 쉬운 언어로 각광을 받고 있음
- SGML과는 다르게 초보자도 할 수 있을 정도로 쉽기 때문에 WWW의 폭발적인 성장과 함께 인터넷 붐을 일으킴
- 문서의 외양만을 제어하는 곳에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
- 쉽게 홈페이지를 만들고 볼 수 있다는 편리함으로, 웹의 발전에 크게 기여함
- 현재까지도 웹 문서를 제작하는 언어로써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음
SGML
SGML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
문서의 구조를 정의할 수 있는 메타언어로서의 국제표쥰으로, 1986년에 최초로 공개됨 문서의 표현특성보다는 구조에 중점을 두고 만들어졌음 |
장/단점
장점 | SGML컴파일러가 문서의 정의 형태를 통해 어떤 문서라도 해석할 수 있음 이식성이 좋음 프린트 매체를 위해 만들어진 문서들이 컴퓨터화면 등과 같은 다른 매체를 위해 쉽게 다시 제작될 수 있음 |
단점 | 기능이 복잡하여 널리 쓰이지 못함 |
마크업 언어를 정의할 수 있느 메타언어
- 어떤 문서든지 제작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음
- 시스템이 플랫폼에 독립적이고 높은 재사용성을 가짐
HTML-SGML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들을 결합한 "XML"이 나타나게 되었다.
2. XML의 특징
HTML | 단점보완 | 제한된 태그로만 분류되어 지정되지 않은 태그의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보완함 XML문서를 만드는 개발자가 임의대로 항목을 정할 수 있도록 함 |
장점결합 | 인터넷상에서 손쉽게 하이퍼미디어 문서를 제공할 수 있는 HTML의 장점을 그대로 가져가고 있음 | |
SGML | 단점보완 | 복잡하고 어려운 과정을 대폭 완화시킴 간단하고 매우 융통성이있는 텍스트 포맷으로 완성됨 |
장점결합 | 구조화된 문서를 정의하고 자유롭게 태그를 정의할 수 있는 SGML의 장점을 그대로 살림 |
3. XML과 HTML/SGML의 비교
HTML
특징
1. 방대한 옵션과 복잡한 SGML의 응용
- 웺상에서는 흔히 사용되는 문서 유형을 정의한 SGML DTD 중 하나
2. 제목, 문단, 목차, 그림 등과 하이퍼 텍스트와 멀티미디어 지원을 통해 간단한 문서들을 표현할 수 있게 해주는 고정된 문서형식정의(DTD)임
HTML 태그(tag) | DTD의 구성요소가(element) 정의된것 |
웹 브라우저 | 표준화된 HTML DTD와 스타일 정보를 내장하여 HTML 문서를 사용자에게 적절히 해석하여 보여주게 되는 것 |
장/단점
장점 | 이식성이 뛰어나고 편리함 |
단점 | 고정된 태그 집합만을 사용함 - 확장성, 구조성, 데이터의 검사 기능에 한계가 있음 |
SGML
장/단점
장점 | 유연성이 많음 시스템에서 독립적으로 운용됨 |
단점 | 형식이 너무 복잡하여 사용이 어려움 DTD생성이나 이해가 쉽지않기 때문에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어려움이 많음 |
XML
특징
1. SGML의 복잡한 특성을 제한함
2. 웹상에서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
3. DTD를 사용자가 정의할 수 있음
4. 다양한 링크 유형을 제공함
구조비교
HTML의 구조 | 정보 고유의 구조를 가리키는 것이 없음 |
XML의 구조 | 주소록의 이름, 전화번호, 주소로 구성되어 있음 주소 부분은 다시 구와 동과 같은 하위 범위로 나뉨 |
항목 | HTML | SGML | XML |
태그 | DTD정의 및 사용자 정의가 불가능함 제한적임 |
사용자 정의 태그를 지원함 무제한적임 |
사용자 정의 태그를 지원함 SGML보다는 제한적임 |
문서의 재사용 | 불가능함 | 가능함 | 가능함 |
응용분야 | 단순한 구조의 문서 및 너무 길지 않은 문서 | 방대한 내용과 구조를 요하는 기술적 문서 | SGML과 동일 웹상의 교환 문서 |
문서작성 | 쉽고 간결함 논리구조 작성이 어려움 |
복잡하고 어려움 | SGML을 단순화 시켜 편라히게 작성이 가능함 |
문서검색 | 효과적인 검색이 어려움 | 자료의 표현 구조와 자료의 내용 분리가 가능함 정확한 검색이 가능함 |
정확한 검식이 가능함 |
출력형식 언어 | CSS (Cascading Style Sheet) |
DSSSL (Document Style Semnaics and Specification Language) |
XSL (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 |
4. XML의 특징
확장 | XML에서 확장은 실로 무한대라 볼 수 있다. 정보 제공자 마음대로 새로운 태그와 속성을 정의 할수 있음 - 사용자가 자신의 데이터를 구분할 때, 새로운 태그 집합을 임의로 만들 수 있다. |
구조 | XML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음 문서 구조의 연속적인 중첩을 허용함 - XML은 객체 지향적 구조 혹은 데이터 베이스 스키마 구성을 위하여 필요한 중첩을 허용하고 있음 |
검증 | 문서 구조의 검증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하여 문법적인 구별을 문서 안에서 제공할 수 있음 애플리케이션이 어떠한 문서를 받아들일 때 그 문서의 오류를 쉽게 판단할 수 있게됨 |
5. XML을 통한 HTML 한계 극복
HTML 문서의 한계
- 데이터 추출에는 성공했지만, 데이터가 의미하는 내용은 알 수 없음
- HTML 문서를 데이터 처리용 응용 프로그램에서 이용한다면 추출한 데이터를 적절히 이용할 수 없음
XML문서를 이용한 해결
- XML문서는 응용프로그램으로 하여금 쉽고 정확하게 데이터를 처리 할 수 있도록 데이터 조직화-구조화 시킴
6. XML의 효과
XML의 특징
1. 통합의 필요성 대두
기업 간 거래시 해당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공통의 언어를 제공함으로써 , application 과정을 통합하고 단순화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
표준이 정립될 경우
- 공급 체인은 자동화 되고 모든 거래 파트너로 확장될 수 있음
- 거래 파트너들이 연결되기 때문에 고객 입장에서는 보다 풍부한 정보를 통해 구매결정을 내릴 수 있음
2. 데이터 베이스 지원
HTML | 웹 페이지에서 데이터베이스처럼 구조화 된 데이터의 지원이 불가능함 |
XML | 사용자가 구조화된 데이터베이스를 뜻대로 조작할 수 있음 |
3. 정확한 정보 검색 지원
XML관련 기술의 표준화가 이루어지면 정보의 불확실성이 제거되어 인터넷 검색이 지금보다 빠르고 정확해짐
변경전 | 내용과 형식의 구분 없이 문서 전체의 내용을 일괄적으로 검색하던 방식 |
변경후 | 형식과 구조화된 내용을 정확하게 검색하는 방식 -> 검색엔진의 효율성을 높이고 불필요한 접속으로 인한 웹 서버의 부담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옴 |
4. 비즈니스 데이터 교환
JAVA 기술 | 애플리케이션이 기본적인 하드웨어 아키텍처나 운영체제에 상관없이 모든 컴퓨테엇 운영되게 해줌 동사를 제공함 |
XML | 정자상거래의 명사를 제공함 마치 마술을 부리듯 서로 다른 전자문서를 호환시켜 줌 전자상거래 데이터 교환의 해결사, 꿈의 인터넷언어 로 불리는 이유가 이 이유에서다. |
HTML | 회사마다 틀린 문서양식을 온라인 상에서 변환시키지 못함 |
기업들이 서로 비즈니스 데이터를 교환 및 가공할 수 있게 해줌
7. XML의 활용 분야
기존의 HTML을 포함하면서 웹 이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간편하게 충족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될 것이다.
현재 XML의 도입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의 대부분은 정보나 자료를 처리하는데 있어 공통의 표준을 적용하는 데서 비롯된다.
1. 정확한 정보 검색 지원
1. 인터넷을 이용한 기업 간 거래가 보편화 됨
- 기존의 전자문서 교환 방식이 XML/EDI로 변환되고 있다.
2. 기존 DEI가 가진 한계를 극복함
- 교환할 문서의 사전 정의 요구, 멀티미디어적 문서 교환의 어려움
3. 쉽게 해결할 수 없었던 새로운 방식의 전자문서 교환을 가능하게 함
-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수용하고 있기 때문임.
2. XML을 이용한 문서 관리
하나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모든 문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문서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
- 특정 문서 양식이나 기안, 제안서, 보고서, 문서 전달, 전자메일 등 다양한 문서를 XML표준 문서로 작성함
- 다양한 문서를 XML 표준 문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함
- 웹을 통한 검색으로 모든 문서 확인 할 수 있음.
3. 전자도서관
대학, 연구소, 정부 산하기관, 정보센터에서 구축 중인 디지털 도서관에 쉽게 응용이 가능함
- 각 기관이 부유하고 있는 학술지 논문, 석-박사 학위 논문, 연구보고서 등을 텍스트 기반의 XML표준 문서로 변환함
- XML로 변환된 문서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고 타 기관의 상호대차 및 원문 교환에 활용할 수 있음
4. 정보통신기기 프로그래밍
1.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스마트 TV등 구글의 안드로이드와 애플의 IOS 기반의 정보통신 기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레이아웃용으로 XML이 사용됨
2. 이미 세계 대부분의 IT업체들은 XML기술을 자사 제품군에 구현하거나, XML을 이용한 응용솔루션을 대거 쏟아내고 있음
3, 인터넷상에서 정보 교환을 목적으로 하는 분야라면 대부문XML이 활용되는 시장 분야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4. 웹 서비스에서 '이기종' 시스템 정보교환
'전공공부 > X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DTD 개요, 문법 (0) | 2022.05.02 |
---|---|
XML 엘리먼트와 속성, 주석, 프로세싱 지시자 (0) | 2022.04.27 |
표기법과 XML문서의 구조 (0) | 2022.04.24 |
XML 문서의 종류 (0) | 2022.04.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