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공공부/드론 공학

군사용 드론의 분류

by 으노으뇨 2021. 10. 8.
728x90
반응형
SMALL

크기에 따른 분류

초소형 무인기(주로 첩보전)

미니급 무인기(대테러용, 경찰, 농약주는정도?)

소형 무인기(SR급 이상, 보병 중대급, 방송용, 150kg 미만, 대부분 민간은 이쯤 이하임)

중형 무인기(보병 대대급, 특수부대 지원, 무게는 150~600kg 미만의 전술무인기)

대형 무인기(600kg 이상, 보병 군단급, 랩터, 글로벌호크, 헤론드론 등이 여기에 속함)

다양한 초소형 무인기

군사용이라기 보다는 ai, 드론기술 등이 접목된 것이다.

남자옆에 점이 보이는가? 이게 드론이다.

조종사가 없으며 지금 ai가 조종하고있다. 손을 뻗으면 손을 인식하고 손에 이륙하게 된다. 단 3g밖에 안된다.

다시 집어던지면 물체를 향해찾아간다. 만약 사람얼굴을 인식시켰다면 그사람얼굴을 인식하고 공격을 가할 수 있다.

-엄청나게 끔찍한 미래가 펼쳐질것같다.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TlO2gcs1YvM

두번째 초소형 무인기에 관한 예시다

동영상을 보면 이해가 된다. : 출처 : http://youtube.com/watch?v=ldFWBdVnuFU

 

- YouTube

 

www.youtube.com

 

지금까진 개발단계인 드론이고, 지금은 실전배치된  초소형 드론에 대한 영상이다.

출처 : http://youtube.com/watch?v=rm_xMuo2Ong

크기가 손바닥 크기밖에안되고 무게도 33g밖에 안된다. 영상처럼 대테러나 첩보전 으로 활용될만하다.

실전배치가 된 드론이기에 안전도가 높다.


비행임무수행 방식별 분류

1. 정찰기

-무인으로 움직여 정보를 가지고(녹화) 복귀한다. 그리고 요즘엔 메모리를 장착하지않고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다른 스토리지에 저장시킨다. 만약 추락된다면 수집된 영상이 넘어 갈 수 있기에... 

2. 전투기

-현재 유인전투기를 대신해 개발된 전투기, RQ-9등, 미 공군도 유인전투기를 더이상 운용하지 않는다.

3. 초소형 비행체

-휴대용 정찰기, 공격기 등

4. 공격기

- 현재도 적 레이더망이나 파괴, 일정한 레이더에 비행물체가 포착되면 자폭기식으로 다가가 추락시킴

5. 표적기

- 방공포나 전투훈련을 위해 개발되었다. 

6. 폭격기

- 통제형체는 정찰기와 같으나, 탑재물에 폭탄을 넣어 표적에가서 낙하하는 방식이다. 

7. 무인헬기

- 이착륙에 대한 제한을 이겨내고자 수직이착륙을 위해 개발되었다.


용도에 따른 분류

 

전술무인 항공기 : 전술적 목적으로 이용

전략 무인항공기 : 전략적 목적으로 사용

특임 무인항공기 : 리퍼의 경우 다기능임 정찰 등 다한다.


비행반경에 따른 분류

근거리 무인항공기  

단거리 무인항공기  

중거리 무인항공기

장거리 체공형 무인항공기


비행 고도에 따른 분류

고고도 체공형 무인항공기 : 대략 14000미터

중고도 체공형 무인항공기 : 고고도보다 낮고 중고도 보다 높다.

저고도 무인항공기


이-착륙 방식별 분류

이륙방식(4) : 지상활주이륙, 발사대 이륙, 공중 투하 방식, 그냥 오르기(헬기?)

착륙방식(3) : 지상 활주 이륙, 낙하산 전개 착륙, 그물망(주로 선상에서 착륙할때 그물망을 쓰는걸 볼수 있음)

이 두가지를 합쳐서 자동 이-착륙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국가별 무인항공기 동향

1) 미국

배경 : 많은 전쟁을 경험을 바탕으로 일찍부터 무인항공기의 군사적 실용성에 주목

운영 종류 및 수량 : 120여 종, 약 11,000기의 무인항공기를 운영하고 있음
-> 단일국가로는 종류 및 수량 몇에서 압도적임 

더보기

즉, 수많은 무인항공기를 각각의 작전반경 및 탑재 중량을 세분화하여 관리하기 위한 정책들이 수립되어서 시행되고있음

탑재중량과 작전범위에 따라 그룹별로 관리함, 그룹별로 나눈 무인항공기를 능력별, 인구별, 제대별로 관리하고있다. 운영현황은 수량면에서 제일많고 작전측면에서 전군지원 다양한 범위에서 임무수행중  또한 그룹별로 운영되는 무인항공기 마다 장착되는 무장을 지정해서 운영한다. 

개발동향 : 감시정찰, 전자전, 해상감시, 대잠수함 임무를 주로 담당하고 있는 MQ모델과 RQ모델을 전략적으로 개발하고 있음
최근에는 무인전투기(UCAV : Unmmanned Combat Arial Vehicle) 개발에 주목하고 있다.

현 2020년까지 무인전투기를 150대까지 되는 편대를 만든다.

무인개발 동향은 국가간 경연장이 될것이다. 미국은 무인항공 장기개발 로드맵을 구축하고  상호 운영성, 자율비행, 병력운영, 통신기술, 훈련기술, 전력, 엔진, 의무선 운영기술등 운영되는 섹터별로 향후 어떤 방향으로 방향해 날갈지 분명한 목표를 설정하고있다.

이는 미국 국방부의 목표를 이루기위해 확보가 되어야할 기술력은 무엇이며,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하는지 체계적으로 준비하고있다는 것임.

2)이스라엘

배경 : 방위산업을 국가의 전략 육성 산업으로 인식하고 있음

개발동향 : 비용대비효과가 우수한 무인항공기 개발에 총력을 기울임

수출주도형방산 육성 전략의 일환으로 국경을 넘나들며 무인항공기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함

무인항공기 시장 Best-seller와 Steady-seller를 꾸준히 양산하고 있음.

-세계무대를 전장으로 인식하고 있는 미국은 다소의 특수한 사례로 들수 있는 반면, 

이스라엘과같은 중소국가는 비교적 한정된 지역을 대상으로한 전술감시 및 유사시 소규모 공격이 가능한 체재개발에 주력한다. 따라서 소형의 국소표적 공격용 체계및 운영 계획이 집중적으로 개발되어있다.

즉 고고도보다는 중고도나 그 이하급에서 체계 개발 관련 기술이 두드러진다. 

다중화와 최적화를 이륙하여 전술에서의 효율화를 구축하고 주변국으로 부터 임무요구 능력을 충족하므로, 미-영-프 등 자체 보유기술이 우수한 국가는 물론 한국을 비롯해 이스라엘 적국이 아닌 러-중 등 대부분의 국가등에서 활용하고있다.

최초 개발부터 수출을 염두하고, 체계 개발에 착수하기 때문에  이스라엘 항공기는 그 운영개발이 경제성이 핵심이다. 즉 타격용으로도 가능한 저렴한 군사적 실용적인 드론에 두드러진 우위를 차지하고있다.

전세계적으로 그 실용성과 경제성이 입증되었다. 스쿼트, 파이오니어, 헌터, 헤론 등 이스라엘 기술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같은 기능을 가지고있지만 성능이나, 경제성으로 세계 경쟁력에서 우위를  인정받고있고, 국경이없는 국제 공동연구개발 프로젝트를 동시에 추진하고있어, 사실상 독자적인 이스라엘 무인항공기 시장에 대해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는것으로 유명하다.

3)프랑스

배경 : 자국 안보 목적 외에도 정치적-경제적 특수성을 고려한 무인항공기 연구개발 사업을 진행중임

개발동향 : 프랑스를 중심으로 이탈리아, 그리스, 스위스, 스페인, 스웨덴 등 6개국이 공동으로 참가하는 NEURON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중에 있음

마하 0.8의 속도에 스텔스 기능, 250kg 이상의 레이저 유도 무기체계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을 개발

이탈리아에서 스텔스와 실사격 시험 등을 수행할 것으로 계획되어있고, 실전배치는 2030년 쯤에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4)독일과 스페인

개발동향 : 공동으로 Barracuda를 개발하고 있음

각국 소속 업체인 EADS 합작으로 추진 중임

제한적 수준의 스텔스 성능 구현 및 재밍이 불가능하도로고 설계한 것이 특징임

 

 

5)영국

개발동향 : B-2폭격기와 유사한 축소시험기로 Raven 을 제작함 

2015~2020사이 UCAV실용화를 예상하고 있음

BAE systems의 Taranis는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큰 무인항공기를 개발하고있다.

정밀유도 폭탄 탑재 능력을 보유하고 대륙 간 횡단 비행도 가능하게 제작할 것으로 전해짐

6)스웨덴

개발동향 : 비겐, 그리펜 전투기 등으로 유명한 스웨덴 회사 SAAB는 기술 연구용 축소시험기로 SJARC와 FILUR를 제작하여 2004년 8월 자동제어 비행에 성공함

스텔스 성능 유무에 따라 꼬리날개와 동체 공기 흡입구를 다르게 설계했으나 같은 엔진을 사용하고 자율 항법은 동일한 수준으로 개발한 모듈화 전략을 사용함

공동의 플랫폼에 기반한 UAV 관련기술을 이용해, 임무에 따라서 UAV UCAV 등 또는 TUAV 전술 무인항공기 , 정찰기 등 연계하여 개발해서 비용의 효율성을 제고하였다.

스웨덴은 엔진이나 동체관련 기술은 물론 지상통제장비, 자율항법전력관리, 충돌회피, 데이터링크, 스텔스, 무기탑재등 다양한 기술들을 통합하여 축적하고 있다.

7)중국

중국의 무인항공기 산업을 보면 무인항공기를 둘러싼 주요국들의 움직임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된다.

개발동향 : Yilong( 중국판 Predator)

2013년 파리 에어쇼를 통하여 처음 공개됨

BA-7공대공 미사일, YZ-212 레이저 유도폭탄, YZ-102대인폭탄, 50kg 소형 유도폭탄과 함꼐 전시되어 무인공격기로서의 성능도 함께 과시함

얼핏보면 프레데터, MQ-9유사하다. 

중국은 중국판 글로벌호크등 시안,  고도 5만 7천 피트, 항속거리 7500, 

2013년 1월 시험 비행에 성공, 운항속도 750km로 최장 10시간 비행가능하고, 한국과 일본은 물론 미국괌까지 정찰가능한 것으로 파악되고있다. 

리젠은 2013년 5월  육상 활주로시험이후 본격적인 시험비행에 임박했다. 이것이 성공시 미국과 프랑스에 의해 세계 3번째에 이어 스텔스 기능을 갖춘 자체기술무인공격기를 보유한 나라가 됨

8)대한민국

개발동향 : 

송골매 : 군단급 무인정찰기, 1991년 국방과학연구소 성우엔지니어링, 대우중공업, 항공사업부 가 공동참여하여 2004년부터 군에 운용됨, 포병부대 정보수집을 주임무로 하는 이기종의특징으로는 원거리의 실시간 표적 영상정보를 주/야간으로 획득가능, 발사대이륙 및 자동착륙이 가능하다. 그리고 사전 프로그램으로 자동비행하는 시스템이 탑재되어있다.

항공우주연구원과 인컴시스템이 참여하여 개발중인 스마트무인항공기는 2002년부터 개발되기 시작하여 아직도 개발중인것을 알 수 있다. 주요특징은 수직이착륙과 , 고속주행이 가능하도록 항공기 개념으로 500km 고속자율주행이 가능하도록 만들고있다. 

드리고 다른항공기와 스스로 피할수 있게 장애물 회피 시스템이 탑재되어있다. 

대한항공 무인항공 : 2004년에 공개 비행성공, 이 기종은 RQ-7을 국산화 한것으로 알려져있고, 주요 특징은 반경 40km이상을 2.5시간동안 실시간 감시 정찰할 수 있고 줌카메라로 해당 지역을 지상통제소에 전달, 전송가능하다.  


드론의 위험성/ 위력

드론에 무기나 소총을 탑재하면 엄청 위험한 무기가 될수 있겠구나 알려주는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Y4STSmwp3I

 

YouTube

 

www.youtube.com

https://www.youtube.com/watch?v=7sVElxRKQ0E

 

- YouTube

 

www.youtube.com


드론의 미래

현재 우리가 알고있는 군사용 무인항공기는 컴퓨터와 첨단 공학이 장착된 4세대 무인항공기에서 상대방의 레이더에 잡히지 않는 5세대 스텔스 무인한공기로 진화하고 있다.

2030년, 미래에는 레이저 무기와 무인항공기, 인공지능이 결합된 6세대 무인한공기의 등장이 예상되며, 현재 충분한 가능성을 가지고 연구진행 중에 있다.

우리의 역사와 함께 많은 전쟁과, 전쟁을 막기 위해 사용되어 왔떤 군사용 무인항공기는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다.

-현존하는 군사무인항공기는 앞으로 미래전의 양상을 상상 그 이상으로 크게 바꿔놓을 것이다.

728x90
반응형
LIST

'전공공부 > 드론 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론의 구성요소(2)  (0) 2021.10.25
드론의 구성요소(1)  (0) 2021.10.25
드론공학-민간용드론활용분야  (0) 2021.10.14
드론공학-민간용 드론  (0) 2021.10.14
드론공학-군사용드론  (0) 2021.10.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