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pring공부/1-REST

pull-request

by 으노으뇨 2021. 10. 11.
728x90
반응형
SMALL

깃허브를 이용해서 브랜치관리하는 것도 올려보겠다.

나의 경우는 

이렇게 스프링학습내용을 통으로 리파지토리를 만들어서 깃허브로 관리하고있다.

브랜치는 현재 

이렇게 있다.

??? : 엥 dev_search는 무슨 브랜치래요? 이거 실수한거아님?

이렇게 생각할 수 있다. 현재 블로그엔 작성되어있진 않지만 게시판에서 게시글을 출력하는 단계를 구현한 브랜치이다. 

이미 이것은 구현을 완료해서 pull request를 하였다.

풀리퀘스트를 해보자

내용을 작성한다. 이때 내용은 자세히 작성하면 좋다. 어떤작업을 하였고, 이슈는 어떻고 테스트결과는 그래서 어떻게 완료해서 풀 리퀘스트를 한다 등 내용을 적어야하지만 내가 학습한내용은 그렇게 복잡한 내용이 아니었기에 명확히 내가 한 내용만 적어준다

그럼 위처럼 4일간 23개 커밋을 하였다고 나온다. 사실 주말 2일을 제외하면 2일에 23커밋으로 마무리한것인데 주말에 급하게 지방에 내려가느라 이렇게 된것이다.

이상이 없으니 머지 풀리퀘스트를 진행하자

그럼 병합이 되었고 브랜치가 닫혀졌다고 안내를 받는다.

과연볼까?

마스터브랜치에 정상적으로 내 Rest_study브랜치가 병합된걸 알수가 있다.

이클립스에서도 그렇게나온다!!

중간에 이슈가 생겨서 브랜치를 하나더만들어서 진행도하고 그걸또 병합도했따.

이렇게 버전관리를 하면 기존의 마스터브랜치에서 기존기능은 계속 구현되면서 

다른브랜치에서 댓글을 구현하는, 즉 댓글쪽을 하면서 오류가나도 기존 서비스는 계속 제공을 해줄수있다는 장점이있다.

그런데 중간중간 pom.property에서 충돌이 일어나서 귀찮긴 하지만...

Rest_Study는  확인이 되었고 정상작동이 되는걸 확인하였으니 삭제하도록하겠다.

그 다음 Ajax로  구현하고 싶었던 게시판 페이지 이동을 ajax로 구현하기위해

새로운 브랜치를 만들어보자

그전에 이름을 

글을 포스팅 전만해도 develope_search(검색기능 개발) 이런식으로

네이밍을했는데 통일이 필요할것같다. 

학습브랜치는 Study_@@@, 

나혼자 실습은  Practice_@@@

식의 패턴으로 지어주도록 하자! 그럼 다시 브랜치가 활성화 된것을 알 수 있다.

이클립스에서도 소식을 알려주어야 한다.

Remotes -> orgin -> 마우스 오른쪽 클릭흐 fetch를 하면 

웹상에서 Practice_page라는 브랜치가 생성되었다고 뜬다.

오케이 그럼 현재 그 브랜치를 로컬로 옮겨주도록해야한다.

해당 리파지토리 -> switch To를 누르고 Others를 누른다. 그럼 브랜치들이 쭉뜨는데 

우린 로컬이아닌 아직 원격에서 찾아야한다.

Remote Tracking폴더를 누르고 새로운 Practice page브랜치로 check 아웃해주면 된다.

지금은 깃허브-이클립스로 했지만 다음에는 깃허브 터미널을 이용해서 풀리퀘스트, 커밋 등 관리하는 것을 포스팅 할 수 있으면 해보겠다.


아참

지금 프로젝트는 단순한 칸반형태로 관리하고있다.

 

앞으로 배울 큰 단락을 ToDo 로했다. 그밑에 짜잘한 기능들은 너무나도 단위기 작아서 분리를 하지않았다.

Rest방식과 Ajax가 완료되었으니 Done으로 가는게 맞다.

그러나 아직 내 Practice부분이 완료되지않았으니 옮기진 않겠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