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공부/네트워크 서버 구축(FTP, NFS, Samba 등)

[프록시서버설치와 운영-1] 프록시 서버의 개념 - 프록시(Proxy)서버 설치와 운영

by 으노으뇨 2023. 2. 8.
728x90
반응형
SMALL
프록시 서버 사용 예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개인적이든 업무적이든 웹을 필수적으로 사용합니다. 그런데 네트워크는 항상 안정적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서, 다양한 이유로 속도가 느려지기도 합니다. 이로 인해서 사용자들이 불만이 높아지기도 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스템의 하드웨어 전체를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도 있지만, 프록시 서버를 통해서 이용자들의 웹 서핑 속도를 향상 시킬수 있습니다.

프록시 서버를 구현하면 웹 서핑 속도가 향상되므로, 회사의 사용자는 큰 만족감을 느낄수 있게됩니다.

진행순서

  1. 프록시서버 개념
  2. 프록시 서버 구현(설치, 설정)
  3. 프록시 서버 테스트

프록시서버의 개념

프록시(Proxy)는 단어 그대로인 "대리인"역할을 하는 서버입니다.

웹 환경에서 프록시 서버의 역할은 웹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사이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입니다.

이때 프록시 서버는 웹 서버에서 가져온 데이터를 웹 클라이언트로 전송한 후 데이터를 캐시에 저장합니다.

그리고 웹 클라이언트가 같은 데이터를 요청하면 웹 서버가 아닌 자신의 캐시에서 해당 데이터를 보냅니다.

이를 통해 필요한 내용을 웹 클라이언트로 빨리 보낼 수 있습니다.

프록시 서버의 개념도

  1. 웹 브라우저 1 에서 웹 서핑을 요청합니다.
  2. 프록시 서버가 대신 웹 서버에 접근합니다.
  3. 웹서버가 데이터를 프록시서버로 전달합니다.
  4. 가져온 데이터를 우선 캐시에 저장합니다.
  5. 웹 브라우저 1로 요청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6. 웹 브라우저 2가 웹 서핑을 요청하면(같은 웹 사이트를 요청한다고 가정하면)
  7. 프록시 서버는 외부로 나가지 않고 자신의 캐시에 있던 데이터를 가져옵니다.
  8. 웹 브라우저 2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이와 같은 방식이므로 웹 클라이언트의 전반적인 웹 서핑 속도가 향상되는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