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리눅스 서버 기초2

[개념] 로컬 네임 서버가 작동하는 순서 / 리눅스 네임 서버 구축 로컬 네임 서버가 작동하는 순서 리눅스에서는 각자 사용하는 네임서버가 /etc/resolve.conf 파일에 'nameserver IP 주소'형식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네임 서버를 로컬 네임 서버라고 부른다. 그래서 www.naver.com의 IP 주소를 요구하면 이 로컬 네임서버에 질문하는 것이다. 그런데 로컬 네임 서버는 의외로 별로 아는 것이 별로 없다. 로컬 네임 서버가 혼자서 전 세계 모든 컴퓨터의 도메인 이름을 관리할 수 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로컬 네임 서버는 자신이 아는 도메인 이름이라면 바로 알려주지만, 자신이 모를 경우에는 아래 그림과 같이 작업을 수행한다. ( 이런 경우가 대부분을 것이다.) PC의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서 www.naver.com을 입력한다. PC 가 리눅스일 경.. 2022. 12. 26.
[텔넷서버] 텔넷 서버 개요 / 리눅스 텔넷 서버 텔넷은 오랫동안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원격 접속 방법이다. 좀 오래되어 보안 등에 취약하기 때문에 요즘은 텔넷만 사용하지 않으며, 텔넷에 보안 기능을 더해서 사용한다. 즉 텔넷은 가장 기본적인 것이다. 텔넷 서버 리눅스 서버에 텔넷 서버를 설치했다면, 원격지에서 리눅스 서버에 접속할 PC 에도 텔넷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 되어있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운영체제에 기본적으로 텔넷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내장되어있으므로 별 문제는 없다. 원격지의 PC (텔넷 클라이언트)에서 리눅스 서버에 접속하면 서버 앞에 앉아서 직접 텍스트 모드로 작업하는 것과 완전히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다. 2022. 12. 22.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