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AOP2

기본 쿼리와 쿼리 작성 방법 이전 포스팅에서 쿼리를 작성하지않아도 select문을 사용한것처럼 값을 가져왔다. 그럼 기본적인 쿼리가 아닌 쿼리는 어떻게 작성할까? Todo리파지토리 인터페이스에 List findByUserId(String userId); 이렇게 한줄을 추가해주었다. 이 메서드를 작성하면 스프링 데이터JPA가 메서드이름을 파싱해서 SELECT * FROM TodoReository WHERE userId = '{userId}' 와 같은 쿼리를 작성해 실행한다. 메서드이름은 쿼리, 매개변수는 쿼리의 where문에 들어갈 값을 의미한다. 더 복잡한 쿼리는 @Query 어노테이션을 사용해 지정할 수 있다. 그런데 내스타일은아니다.. 2021. 11. 26.
AOP 기본개요 AOP란? Asepect_Orented Programming 즉,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이라는 의미로 번역되는데, 객체지향에서 특정 비즈니스 로직에 걸림돌이 되는 공통 로직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AOP를 적용하면 기존의 코드에 첨삭 없이 메서드의 호출 이전 혹은 이후에 필요한 로직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트랜잭션 작업은 DB를 이용할때 두 개 이상의 작업이 같이 영향을 받는 경우에 필요하다. 과거에는 코드내에 개발자가 직접 이를 지정하고 사용했다면, 스프링에서는 XML이나 어노테이션만으로 트랜잭션이 처리된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런데 이 관점이라는 용어가 현실적으로 와닿지 않기 때문에 어렵게 느껴지고있다. 개발자들에겐 관심사(Concern)이라는 말로 통용된다. -파라미.. 2021. 10. 11.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