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rest api4

서비스 개발(4) - 삭제기능 Todo를 삭제하는 기능을 구현하고자합니당 퍼시스턴스 구현 TodoRepository를 사용한다. 업데이트를 위해 delete(), findByUserId()메서드를 사용한다. 서비스 구현 Delete기능의 구현을 위해 delete메서드를 작성하겠습니다! TodoService클래스에 해당 메서드를 추가해줍시다 public List deleteTodo(final TodoEntity entity) { Validate.checkValidate(entity); try { //엔티티를 삭제한다. todoRepository.delete(entity); } catch (Exception e) { //예외가 발생했을때 아이디와 예외를 로깅한다. log.error("에러발생!!엔티티 삭제할떄 오류가 발생..", enti.. 2021. 11. 28.
서비스 개발(3) - 업데이트 기능 지금의 포스팅은 Todo를 업데이트하는 리포지토리 서비스 컨트롤러 등을 구현한다. 그럼 제일 먼저할것은 서비스클래스에서 해당 기능을 해주는 update에 관련된 메서드를 만들어주는것이다. public List updateTodo(final TodoEntity entity) { // 저장할 엔티티가 유효한지 확인한다. Validate.checkValidate(entity); // 넘겨받은 엔티티 id를 이용해 Todo Entity를 가져온다. 존재하지 않은 엔티티는 업데이트 할 수 없기때문 final Optional original = todoRepository.findById(entity.getId()); original.ifPresent(todo -> { // 반환된 투두엔티티가 존재하면 값을 새 엔티.. 2021. 11. 28.
REST API REST는 Resp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아키텍처 스타일이다. 아키텍처 스타일은 아키텍처 패턴과는 조금 다르다. 아키텍처 패턴은 어떤 반복되는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도구고, 아키텍처 스타일은 반복되는 아키텍처 디자인을 의미한다. REST아키텍처 스타일은 6가지 제약조건으로 구성된다. 이 가이드 라인을 따르는 API를 RESTful API라고 한다. REST 제약조건 클라이언트-서버 상태가 없음 캐시되는 데이터 일관적인 인터페이스 레이어 시스템 코드-온-디맨드(선택사항) 클라이언트 - 서버 클라이언트 - 서버라는 것은 리소스를 관리하는 서버가 존재하고, 다수의 클라이언트가 리소스를 소비하려고 네티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근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이런 구조 중 우리에게 가장 .. 2021. 11. 23.
백엔드 서비스 아키텍처 말은 거창하게 서비스 아키텍처라고 사용하였다. Model/Entitt와 DTO클래스 Controller, Service, Persistence 클래스 테스팅용 REST API 에 대해 실습을 하면서 설명은 설명을 위주로하는 카테고리에서 하도록 하겠다. 오 프로젝트에서는 모델과 엔티티를 한 클래스에 구현한다. 따라서 모델은 비즈니스 데이터를 담는 역할과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과 스키마를 표현하는 두 역할을 한다. 큰 애플리 케이션의 경우 모델과 엔티티를 따로 구현하지만 우리는 규모가 작으므로 합쳐서 구현하는 것이다. 이 모델/엔티티의 이름은 TodoEntity이고, Todo리스트의 한 아이템에 해당한다. TodoEntity를 작성하기에 앞서 model 패키지 com.unoSpringBoot.study.mod.. 2021. 11. 22.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