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공공부/드론 공학

항공법규(1)

by 으노으뇨 2021. 11. 9.
728x90
반응형
SMALL

항공법의 기원과 발전

1783년 프랑스 몽골피에 형제의 열기구 유인비행성공
1903년 미국 라이트 형제 동력추진항공기의 유인 비행 성공
1907년 항공기에 의한 영불해협 횡단 성공
- 당시는 무법상태 : 여권, 입국허가가 없었다.
- 하늘의 법적 지위와 항공의 국제적 성격에 대한 정의의 필요성이 증대됨
1910년 프랑스 파리, 항공법 회의 개최(19개국 국가대표 참석)
1919년 10월 항행의 규율에 관한 국제협약(International Convention Relating to the Regulation of Arial Bavigation)일명 파리협약이 체결됨
파리협약 제 1조 : 자국 영공에 대한 완전하고 배타적인 주권을 인정하는 영공주권원칙
1) 국제 민간 항공 기구(ICAO : Inter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시카고민간항공조약(시카고조약)에 기초하여, 국제민간 항공의 평ㄱ화적이고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1947년 4월에 발족된 국제연합(UN) 전문기구

이사국

이사국은 항공 선진국으로 구성된 1그룹(11개국), 항공산업의 규모가 큰 2그룹(12개국), 지역대표성이 강한 3그룹 (13개국) 등 모드 3개 그룹 36개국으로 구성되어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3그룹 국가에 해당해있다

항공기 분류

항공기를 크게 두개로 경항공기 , 중항공기로 나눌수 있따.

이것을 또 무동력, 동력으로 두가지로 나눌수 있다.

우리나라의 항공법

항공 그 자체가 본질적으로 국제성을 띄고 있음

국내 항공법의 국제화 추세가 진행되고 있음(국내항공법 통일화 현상 전개)

국가별 형태와 내용에 차이가 있는 경우 ICAO 에 통보함

-국내 항공버에 추가된 내용

  • 항공안전법, 공항시설법, 항공사업법, 항공보안법
  • 공항소음 방지 및 소음대책 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
  • 국제항공운수권 및 영공통과 이용권 배분 등에 관한 규칙
  • 항공기등록령, 항공기 등록규칙
  • 항공철도사고 조사위원회법, 항공우주산업개발촉진법 등

항공법의 분법

1961년 제정된 항공법을 ICAO 의 국제기준 개정에 따른 안전기준을 반영하여 2017년 3월 30일 항공사업법, 공항시설법, 항공시설법으로 분리(분법)함

분야는 크게 3가지로 되어있는데, 그중 사업에 대해서는 항송사업진흥법과 항공법 중 사업에 관한내용을

항공사업법(시행령, 시행규칙)이렇게 개선을 하는 등 분리/분법하였다.

추가로!!!!!!!!!!!!!

초경량비행장치에 무인멀티콥터 추가되었음
  • 항공안전법 제 1조 (목적)
  • 공항시설법 제 1조 (목적)
  • 항공사업법 제 1조 (목적)
  • 항공, 철도 사고조사에 관한 법률 제 1조(목적)에 명시됨

분류 기준 및 종류

구분 초경량비행장치 경량항공기 항공기
무게 기준 자체중량 115kg이하 최대이륙중량 600kg이하 최대이륙중량 600kg 초과
좌석수 1인승 2인승 이하 제한 없음
종류 동력비행장치
회전익 비행장치
동력패러글라이더
기구류
인력활공기
무인비행장치
타면조종형비행기
체중이동형 비행기
경량헬리콥터
자이로플레인
동력패러슈트
비행기
비행선
활공기
회전익항공기
항공우주선

체중이동형 비행기

경량헬리콥터

동력패러슈트

자이로플레인의 구조

 

728x90
반응형
LIST

'전공공부 > 드론 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론의 위험성  (0) 2021.11.29
항공법규(2)  (0) 2021.11.09
드론의 구성요소(4)  (0) 2021.11.02
드론의 구성요소(3)  (0) 2021.11.02
드론의 구성요소(2)  (0) 2021.10.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