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m-connection-editor 또는 nmtui nm-connection-editor에서 nm은 Network Manager의 약자이다. 그리고 nmtui는 Network Manager Text User Interface의 약자다. 네트워크와 관련되 작업의 대부분은 이 두 명령을 기반으로 실행할 수 있다. nm-connection-editor 또는 nmtui 명령으로 설정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자동 IP 주소 또는 고정 IP 주소 사용 결정 -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정보 입력 - DNS 정보입력 - 네트워크 카드 드라이버 설정 - 네트워크 장치(ens32 또는 ens333) 설정
nm-connection-editor 명령어 실행 화면nmtui
systemctl start/stop/restart/status networking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한 후 변경된 내용을 시스템에 적용시키는 명령어디ㅏ. 그러므로 nm-connection-editor나 nmtui같은 명령을 실행해서 내용을 변경한 이후에는 꼭 위 "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 " 명령어를 실행해야한다고 기억하면 된다. restart 옵션은 stop 옵션과 start 옵션이 합쳐진 것이다. status 옵션은 현재 작동 또는 정지 상태를 표시한다.실행했지만 오류남 현재 단위 네트워킹이 없어서 그런것같다.
ifconfig 해당 장치의 IP 주소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
nslookup DNS 서버의 작동을 테스트 하는 명령어다.해당 명령어 작동방법에 대해서는 추가로 포스팅을올려서 설명드리겠습니다.
간단하게 사용하면 위와같지만 사용한것은 아니다. DNS 서버 작동되는지 확인하는 방법으로 사용될떄가 있다. DNS 주소를 알아내서 실행하면 될것이다. 예를 들어 내주소나, 네이버를 입력하게되면
이렇게 나온다. 나중에 더 조금더 자세한내용으로 포스팅 하겠습니다.
ping IP 주소 또는 URL 해당 컴퓨터가 네트워크상에서 응답하는지 테스트하는 간편한 명령어다. 즉, 상대 컴퓨터가 아무런 문제없이 작동되는지 네트워크 상에서 체크할 때 주로 사용된다.
네트워크 설정과 관련된 주요 파일
명령어는 아니지만 네트워크 기본정보가 설정된 파일이다.
:: X윈도버전의 경우
nm-connection-editor 이나 nmtui 명령으로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면 " /etc/NetworkManager/system-connections/유선연결 1 " 파일의 내용이 변경된다.
네트워크 장치(유선 연결 1 )에 설정된 네트워크 정보가 모두 들어 있는 파일이다. 에디터로 직접 편집가능하지만, 해당 툴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 텍스트 리눅스의 경우
/etc/netplan/*.yaml 파일에 네트워크 정보가 모두 들어 있으므로, 에디터로 이 파일을 직접 편집해서 네트워크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etc/resolv.conf DNS 서버의 정보와 호스트 이름이 들어있는 파일이다. 임시로 사용되는 파일이며, 네트워크가 재시작하면 다시 내용이 초기화 된다. 그러므로, 영구적으로 DNS 서버 정보를 변경하려면 " nm-connection-editor " 또는 nmtui 로 수정하거나 리눅스의 경우 야믈파일을 변경해서 편집해서 수정해야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