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공부/명령어와 필수 작동법

[네트워크 설정] DNS 서버설정을 통해 서버상태 확인하기

by 으노으뇨 2022. 12. 18.
728x90
반응형
SMALL

인터넷이 안될 경우 DNS 서버의 고장 대문인지, 아니면 다른 문제 인지 확인해봐야한다.

또는 DNS 서버를 직접 구축한 후 제대로 작동하는지 테스트할 때도 사용하는 방법이다.

DNS 서버에 일부러 문제를 발생시켜서 확인하는 방법으로 진행하겠습니다.

현재 네트워크 상태가 정상적인지 확인한다.
별 이상이 없어서 잘 접속된 모습

이번에는 DNS 서버에 일부러 DNS 서버에 문제를 발생시켜 보겠습니다.
nano나 gedit으로 

/etc/resolv.conf

파일을 열어서 127.0.0.xx 를 100.100.100.100으로 고친 후 저장하고 닫아보겠습니다.

변경하기전 127.0.0.53
변경한 모습 이렇게 변경하고 저장합니다.

아까 킨 웹브라우저를 닫고 다시 실행한 후
www.nate.com
접속해보겠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인터넷이 되지 않으면 DNS 서버 문제인지, IP 설정이 잘못 되었는지 바로 알기 가 어렵다. 그중에서 DNS 서버가 원인인지 파악해 보겠습니다.

접속이 안되는 화면

 DNS가 문제인지 확인하는 방법

우선 /etc/resolv.conf 파일에 설정된 DNS 서버 주소 (100.100.100.100.) 외에 다른 DNS서버주소를 알아야 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KT 의 DNs 서버 주소인 168.126.31.1을 사용해 보겠습니다.

터미널에서 nslookup 명령을 입력하면 프롬프트가 " > " 로 바뀐다. server라고 입력하는 나오는 결과가 현재 Server에 설정된 DNS 서버 주소다.
DNS 서버 작동 확인한 모습

기본으로 설정된 DNS 서버 주소는 /etc/resolv.conf 파일에 설정된 잘못된 주소인 100.100.100.100이다.

여기에 www.nate.com  을 입력해봅니다. 잠시 후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가 나옵니다.

현재 설정된 DNS 서버 주소 (100.100.100.100.)가 응답하지 않기 때문이다.

server 새로운 DNS 서버 IP 주소 명령을 사용해서 확실히 작동하는 구글의 8.8.8.8로 DNS 서버주소를 변경하고 다시 www.nate.com을 입력해본다.
서버작동확인된 모습

이와 같이 nslookup 명령으로 DNS 서버 주소를 변경해 네트워크가 제대로 응답한다면 /etc/resolv.comf 파일에 설정된 DNS 서버에 문제가 있는 것이며, 그 외 네트워크설정에는 문제가 없다고 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