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bit bucket이란?
아틀라시안 소유의 웹 기반 버전 관리 저장소 호스팅 서비스로서, 깃 버전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소스 코드 및 개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함. 상용 플랜과 무료 계정이 존재,
- 버전관리란?
버전 관리 시스템은 파일 변화를 시간에 따라 기록했다가 나중에 특정 시점의 버전을 다시
꺼내올 수 있는 시스템
주요 사용단어설명
committed | 데이터가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안전하게 저장됐다는 것을 의미 |
modified | 수정한 파일을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커밋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 |
staged | 현재 수정한 파일을 곧 커밋할 것이라고 표시한 상태를 의미 |
checkout | 현재 작업중인 워킹 트리의 일부 혹은 전체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의미 |
fetch | 리모트 리포지토리에서 브랜치의 헤드 레프(head ref)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 |
head | 브랜치의 제일 앞에 있는 커밋을 가르키는 레퍼런스를 부르는 이름 헤드는 .git/refs/heads/ 폴더에 저장 |
pull | 브랜치를 풀한다는 것은 브랜치의 내용을 펫치를 한 후 머지를 하는 것 |
push | 로컬의 수정 내용을 리모트 리포지토리에 저장하는 것 |
rebase | 현재 브랜치 처음 생성할 때 어느 특정 커밋(base)에서 시작된 것입니다. 리베이스는 이 베이스를 다시 다른 브랜치의 head로 이동하는 것 |
merge | 브랜치를 하나로 합치는 것 |
깃에 원하는 폴더올리기
![]() |
1. 터미널 상에서 올릴 폴더위치로 이동한다.(cd ../../) |
![]() |
2. 올릴 폴더, 리포지토리를 연결한다. (git commit -m “(text)”) |
![]() |
3. 원격 리파지토리와 로컬 리파지토리를 연결시킨뒤, 마스터브랜치로 푸쉬를 한다. (git remote add origin (remote url), git push -u origin master) |
Jira와 연동
- 연동하기
![]() |
이슈들을 생성 |
![]() |
분기점 만들기 |
![]() |
브랜치타입, 브랜치 지정, 브랜치 이름 지정 |
- 브랜치 종류
master branch : 이력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 즉 배포 가능한 상태만을 관리한다.
develop branch : 다음 출시 버전을 개발하는 브랜치.
기능 개발을 위한 브랜치들을 병합하기 위해 사용. 즉, 모든 기능이 추가되고 버그가 수정되어 백포 가능한 안정적인 상태라면 develop 브랜치를 ‘master’ 브랜치에 병합한다. 평소에는 이 브랜치를 기반으로 개발을 진행한다.
feature branch : 기능을 개발하는 브랜치
feature 브랜치는 새로운 기능 개발 및 버그 수정이 필요할 때마다 ‘develop’브랜치로 부터 분리한다. feature 브랜치에서의 작업은 기본적으로 공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자신의 로컬 저장소에서 관리한다. 개발이 완료되면 ‘develop’ 브랜치로 병합하여 다른 사람들과 공유한다.
release branch : 이번 출시 버전을 준비하는 브랜치
배포를 위한 전용 브랜치를 사용함으로써 한 팀이 해당 배포를 준비하는 동안 다른 팀은 배포를 위한 기능 개발을 계속할 수 있다. 즉, 딱딱 끊어지는 개발 단계를 정의하기에 아주 좋다.
hotfix branch : 출시 버전에서 발생한 버그를 수정 하는 브랜치
배포한 버전에 긴급하게 수정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마스터 브랜치에서 분기하는 브랜치이다. 디벨로프 브랜치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을 수정하여 배포 가능한 버전을 만들기에는 시간도 많이 소요되고 안정성을 보장하기도 어려우므로 바로 배포가 가능한 마스터 브랜치에서 직접 브랜치를 만들어 필요한 부분만을 수정한 후 다시 마스터 브랜치에 병합하여 이를 배포한다.
- 버그 수정만을 위한 핫픽스 브랜치를 따로 만들었기 때문에, 다음 배포를 위해 개발하던 작업 내용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참조 : https://gmlwjd9405.github.io/2018/05/11/types-of-git-branch.html
bugfix branch : 일반적으로 release 브랜치의 버그를 수정하는데 사용된다.
명령어 정리
저장소 생성(리포지토리) | git init git clone(git 저장소의 url) |
원하는 폴더 들어간 후 또는 기존 원격에 있는 저장소를 보컬로 복제가능 |
staging 영역에 추가 | git add . git add -A git status |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업데이트 된 파일을 전부 스테이징 영역으로 추가 수정된 파일 전부를 스테이징 추가 add 내역을 확인. |
리포지토리에 커밋 | git commit -m “text” | text안에 내용입력 |
원격 저장소에 push | git remote add origin (url) git push origin master |
원격저장소 연결 origin이라는 원격저장소의 마스터브랜치에 푸쉬 |
pull | git pull | 원격 저장소에 업데이트 한 파일이 있을 때, 로컬저장소의 상태도 동일하게 만듬 |
branch관련 | git branch git branch mybranch<-예시 git checkout mybranch git push origin mybranch |
현재 설정된 브랜치앞에 *가 붙음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 기존 브랜치에서 새로운 브랜치로 전환 origin이라는 원격저장소의 mybranch로 푸쉬 |
'기타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데이터베이스 설치 / MySQL 설치하기 (0) | 2022.11.14 |
---|---|
자바스크립트- addEventListener 이벤트 종류, 이벤트 등록, JS이벤트 종류 (0) | 2022.03.08 |
메타마스크와 설치/ 지갑 (0) | 2021.10.19 |
기아현상/경쟁상태 (0) | 2021.10.15 |
JIRA의 개념과 이해공부(이슈관리) (0) | 2021.10.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