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no 나 gedit으로 telnet 파일을 열고 다음 내용을 입력한 후 저장하고 닫는다.
service telnet
{
disable = no
flags = REUSE
socket_type = stream
wait = no
user = root
server = /usr/sbin/in.telnetd
log_on_failure += USERID
}
이때 내용이 조금이라도 달라지면 안된다.
작성완성 한 모습
텔넷 전용 사용자 생성
adduser teluser
명령을 입력해 접속 테스트를 위한 사용자를 만든다. 비밀번호는 teluser 로 지정하고 나머지는 기본값으로 만들겠습니다.
기본값만 입력한 모습
텔넷 서비스 가동
systemctl restart xinetd
명령을 입력해서 텔넷 서비스를 가동합니다. ( 아무 메세지가 나오지 않으면 제대로 된 것입니다.) 그리고
systemctl enable xinetd
명령으로 컴퓨터를 재부팅해도 서비스가 가동되도록 설정합니다.
해당 명령어들을 입력한 모습
systemctl status xinetd
명령으로 가동 여부를 확인합니다.
가동 여부를 확인합니다.
서비스 상태는 작동 중인것이 확인되었다.
방화벽 설정
ufw allow 23/tcp
명령으로 방화벽에서 텔넷의 23번 포트를 허용한다.
연모습
포트 포트(Port)f란 TCP 포트 또는 UDP 포트를 줄여서 부르는 것으로, 가상의 논리적인 통신 연결 번호를 말한다. 컴퓨터를 건물이라고 가정하면 IP 주소는 건물의 정문이고, 포트 번호는 건물 안 각 방의 방 번호라고 생각하면 된다. 예를 들어 회의실은 55번 방, 휴게실은 77번 방과 같이 번호를 매긴 것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모든 컴퓨터는 0~65535 까지 포트 번호가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는 0~ 1023까지는 예약된 포트 번호가 많다. 지금 구축된 텔넷 서버는 23번, FTP 서버는 21번, 웹 서버는 80번 등으로 예약된다.
클라이언트에서 접속 자신의 컴퓨터에서 조금전에 생성한 teluser로 접속해보자. 혹시 서버 IP를 확인하고 싶다면
ip addr
를 눌러서
로 확인하면 된다.
telnet 서버 IP 주소 <- 텔넷 클라이언트를 사용해서 접속
사용자 및 비밀번호 입력 <- (앞에서 만든 teluser)
whoami <- 접속된 사용자 이름 확인
exit <- 텔넷 종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