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공부/원격지 시스템 관리

[텔넷 서버] 리눅스 텔넷 서버 구축, 외부에서 텔넷 서버로 접속 - 2 / 리눅스 서버 외부에서 텔넷 서버로 접속

by 으노으뇨 2022. 12. 22.
728x90
반응형
SMALL

이전글에서 텔넷 서버 설치 구축하는 작업을 하였습니다 . 참고해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uno-kim.tistory.com/288

 

[텔넷 서버] 리눅스 텔넷 서버 구축 - 1 / 리눅스 서버 구축

텔넷 서버 구축 과정 요약 텔넷 서버 설치 (apt install xinetd telnetd) 설정 파일 편집 ( /etc/xinetd.d/telnet 파일편집) 텔넷 전용 사용자 생성 ( adduser사용자명) 텔넷 서비스 가동 ( systemctl restart xinetd) 방화

uno-kim.tistory.com

외부에서 텔넷 서버로 접속

이제 내 진짜 PC환경에서 텔넷 서버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윈도우에서 텔넷 클라이언트 기능을 추가 설치한다.
[ 시작 ] 에서 오른쪽 검색 창에서 windows 기능 을입력한 후 
[windows 기능 켜기/끄기 ]  를 선택한다.
간단하게 검색해서 해당기능을 끄고 키게 해주는 팝업이 뜬다.
빨간네모

텔넷 클라이언트를 선택하고 설치한다.

설치가 완료되면 < 다시시작> 을 눌러서 재부팅한다.

[ 시작 ] 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 [ windows PowerShell ( 관리자 ) 를 선택해서 windows PowerShell창을 연다.

ping 192.168.111.55 ( 내가 아까 리눅스 서버 IP를 알아본 그 주소!)
통신 결과

server와 네트워크가 연결되는지 확인되었으면

telnet 192.168.111.55

명령으로 텔넷 접속을 시도해 봅니다.

접속성공한 모습

아이디 : teluser
비번 : teluser
이렇게 하면 잘 접속될 것이다. 이제 부터는 teluser 권한으로 실행가능한 모든 리눅스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ifconfig ens32

명령을 사용해 봅시다.

외부에서 접속 성공

텔넷을 종료하려면 

exit

입력하면된다.
이번에는 

telnet 192.168.111.55

 명령을 입력한다음 root사용자 로 다시 접속해보겠습니다.

root 계정으로 잘 접속된 모습

이제는 root 사용자로도 텔넷 접속이 잘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windows 에서도 텔넷을 사용하면 Server에 직접 앉아서 root 사용자로 로그인한 것과 완전히 동일한 환경이 됩니다.

이전 버전의 우분투는 기본적으로 텔넷으로 root 사용자가 접속이 되지 않았다. 하지만 우분투 20.04의 버그로 /etc/securetty 파일이 누락되어 root 사용자로 접속이 가능하다. 이 문제는 이후 업데이트된 우분투 20.04가 나오면 해결될 수도 있다. 비록 버그로 인해 root 사용자로 접속되더라도 root 사용자의 텔넷 접속을 허용하는 것은 좋은 생각이 아니다. 일반 사용자로 접속한 후 root 사용자의 권한이 필요하면 sudo 명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제는 지구상의 어느곳에서든 ( 인터넷만 된다면 ) 리눅스 서버 앞에 직접 앉아서 작업하는 것과 동일한 환경이 구축되었다.

지금은 windows 에서 리눅스 서버로 접속했지만, 클라이언트 OS 가 리눅스든 어디든 동일한 telnet 명령어로 리눅스 서버로 접속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