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공부/웹 서버 설치와 운영

[웹서버설치] 리눅스 웹 서버 설치 및 환경설정 - 필수 소프트웨어 설치 및 환경설정

by 으노으뇨 2023. 1. 30.
728x90
반응형
SMALL

리눅스로 웹 서버 설치하고 운영하는 것에 대해 포스팅 하겠습니다.

크게

  1. 필수 소프트웨어 설치 및 환경설정
  2. 웹사이트 구축
  3. 클라우드 서비스 설치 및 운영
  4. 웹 서버 설정과 파일폴더

이렇게 4가지로 진행하겠습니다.


리눅스 우분투에서는 웹 서버 소프트웨어 중 가장 안정적이고 유명한 아파치 웹 서바가 포함되어있습니다.

또 웹 프로그래밍 언어인 PHP와 MySQL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를 지원합니다.

이것을 APM(Apach, PHP, MySQL) 이라고합니다.

필수 소프트웨어 설치하기

sudo apt -y install lamp-server^

명령으로 apache php mysql을 한번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설치된 버전을 확인합니다.

dpkg -l {패키지 이름}

#여기서는
dpkg -l apache2 php7.4-common mysql-server

설치된 버전 확인


APM과 관련된 서비스 가동하고 필요한 설정 진행

systemctl restart apache2
systemctl enable apache2
systemctl status apache2

명령으로 웹 서비스를 작동하고 확인한다.

apache2 서비스 시작된 모습

mySql 도 실행한다.

systemctl restart mysql
systemctl enable mysql
systemctl status mysql

PHP 는 서버나 소프트웨어 처럼 별도의 서비스가 아니라
apache2에 포함된 기능이므로 별도로 가동하지 않아도 됩니다.

웹 서버 및 PHP 작동 확인

브라우저를 실행한 후 주소창에 해당 로컬호스트 주소를 입력합니다.

http://localhost/
#또는
http://127.0.0.1/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모습

gedit /var/www/html/phpinfo.php

명령을 입력해서 새 파일을 만든 다음 php 코드를 입력한 후 저장합니다.

<?php phpinfo();	?>

이 코드는 웹 서버에 설치된 PHP 정보를 보여줍니다.

크게 특별한건 아닙니다.

http://localhost/phpinfo.php
#또는
http://127.0.0.1/phpinfo.php

접속을 시도하면 아래와 같이 나타납니다.

정상적으로 PHP 모듈이 가동되는 화면


방화벽 허용

ufw allow 80

명령으로 외부에서 웹 서버에 접근할 수 있도록 포트를 허용해줍니다.


외부에서 웹 서버에 접속해보기

지난 포스팅으로 가상머신에 윈도우즈를 추가했습니다.

https://uno-kim.tistory.com/324

 

[윈도우즈10설치] 윈도우즈 환경 설치

안녕하세요~! ㅎㅎㅎ 지난 포스팅에서는 리눅스 우분투 모드와, 리눅스 텍스트 모드, KDE환경을 설치하고 기본적인 설정까지 해보았습니다! ㅎ 1. https://uno-kim.tistory.com/235 우분투 GNOME( 우분투 그

uno-kim.tistory.com

이렇게 설치된 윈도우즈 가상머신에서 방금 설치한 웹 서버에 접속을 시도하겠습니다.

따끈따끈 새로 설치된 윈도우즈 가상머신

웹 서버 접속을 위해서 웹 서버 도메인주소를 확인해줍니다.

리눅스 도메인 주소를 알아냅니다.

http://192.168.111.100/phpinfo.php

주소로 접속을 시도해보겠습니다.

정상적으로 접속된 모습


이것으로 Apach, PHP, MySQL이 정상적으로 설치되었고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제 웹 페이지 또는 PHP 소스를 이용해서 웹 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