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리눅스공부/명령어와 필수 작동법20

[네트워크 설정] 네트워크 설정파일을 변경하고 설정하는 법 리눅스네트워크 설정파일을 변경하고 설정하는 법 터미널을 열고 nm-connection-editor명령어를 입력 [네트워크 연결] 창에서 설정된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해본다. 현재 눌렀을때 보통 위와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네트워크 열결] 창에서 설정 아이콘을 클릭하고, [IPv4 설정] 탭을 선택한다. 장치 이름은 '유선 연결' 1이며, IP 주소는 192.168.111.100, 넷마스크는 24(255.255.255.0)), 게이트웨이 주소와 DNS servers의 주소는 192.168.111.2로 설정되어 있다. 간단하게 [주소]를 192.168.111.55 로 변경하고 을 클릭해서 적용시킨다. *192.168.111.2는 VM웨어에서 가상으로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 DNS 서버 역할을 하는 고정된 IP.. 2022. 12. 18.
[명령어] 리눅스에서의 중요한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네트워크와 관련된 명령어는 많지만 주로 사용하는 명령어 위주로 포스팅 하겠습니다. nm-connection-editor 또는 nmtui nm-connection-editor에서 nm은 Network Manager의 약자이다. 그리고 nmtui는 Network Manager Text User Interface의 약자다. 네트워크와 관련되 작업의 대부분은 이 두 명령을 기반으로 실행할 수 있다. nm-connection-editor 또는 nmtui 명령으로 설정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자동 IP 주소 또는 고정 IP 주소 사용 결정 -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정보 입력 - DNS 정보입력 - 네트워크 카드 드라이버 설정 - 네트워크 장치(ens32 또는 ens333) 설정 systemc.. 2022. 12. 10.
[개념] 네트워크 관련 필수 개념 정리 처음 네트워크를 접하는 사람이라면 좀 어렵게 리눅스, 서버관리가 느껴질 수 있으므로 모두 외우지 않더라도 계속 짤막짤막하게 보고. 나중에 CS 지식으로 남으면 좋으니 네트워크 관련되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TCP/IP 컴퓨터끼리 네트워크상으로 의사소통하는 약속을 '프로토콜'이라고 부르는데, 그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 종류 중 하나이다. 통신의 전송/수신을 다루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와 데이터 통신을 다루는 IP(Internet Protocol)로 구성 된다. 호스트 이름과 도메인 이름 호스트 이름은 각각의 컴퓨터에 지정된 이름을 말한다. 도메인 이름( 또는 도메인 주소)은 hanbit.co.kr 과 같은 형식으로 표기하며 kr은 한국, co는 회사, han.. 2022. 12. 8.
[작동방법 / 명령어] 리눅스 프로그램 설치 명령어 프로그램 설치를 위한 명령어 : dpkg 초창기 리눅스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이 꽤 어려웠어서 데비안 리눅스에서 윈도우와 비슷하게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바로 실행할 수 있는 설치파일을 제작했다. 이것이 deb, 패키지라고 한다. 자주사용하는 dpkg 명령어 옵션 설치 dpkg -i 패키지 파일 이름.deb -i, -install = 패키지 설치 삭제 dpkg -r 패키지이름 -r 또는 -remove = 기존에 설치된 패키지 삭제 dpkg -P 패키지이름 -기존에 설치된 패키지 삭제 및 설정 파일까지도 모두 삭제 패키지 조회 dpkg -l 패키지 이름 설치된 패키지에 대한 정보를 보여줌 dpkg -L 패키지 이름 패키지가 설치한 파일 목록을 보여줌 deb 파일 내용 조회 dpkg --info 패키지.. 2022. 12. 8.
[작동방법 / 명령어] 리눅스 파일 압축, 파일 위치 검색 파일압축과 묶기는 사용이 간단하고 앞으로 서버 구축부분에서 자주 다루게 된다. 파일 압축 리눅스에서 많이 보는 압축 파일의 확장명은 xz, bz2, gz, zip, Z 등이다 예전에는 주로 gz를 사용헀으나, 최근에는 압축률이 더 좋은 xz, ,bz2를 많이 사용하는 추세다. xz 확장명 xz로 압축하거나 풀어준다. 비교적 최신 압축 명령으로 압축률이 뛰어나다. xz 파일이름 해당 파일을 압축파일인 파일이름.xz로 만든다. 기존 파일은 삭제된다. xz -d 파일이름.xz (d는 Decompress를 의미) 압축을 풀어분다. xz -l 파일이름.xz (l은 List를 의미) 파일이름. xz 압축 파일에 포함된 파일 목록과 압출률 등 출력 xz -k 파일이름 (k는 Keep을 의미) 압축 후 기존 파일을 삭.. 2022. 12. 8.
[작동방법 / 명령어] 리눅스 사용자 관리와 파일 속성 리눅스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이다. 즉 1대의 리눅스에 사용자 여러명이 동시에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 그래서 우리가 리눅스를 하다보면 root 라는 계정이있는데 이 계정은 모든 권한이 있는 슈퍼계정이다. > root 계정 root계정에는 시스템의 모든 작업을 실행 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또한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를 생성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우선 gedit이나 vi로 /etc/passwd 파일을 열면 여러명의 사용자가 보인다. 제일위의 root 사용자부터 ubuntu 사용자를 제외하면 리눅스에서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표준 사용자이다. 각 행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 이름 : 암호 : 사용자 ID : 사용자가 소속된 그룹 ID : 추가 정보 : 홈 디렉터리 : 기본 셀 그리고 .. 2022. 12. 7.
[작동 방법] 리눅스 에디터 사용법 안녕하세요~!!!!ㅎㅎㅎ 이번엔 리눅스 에디터에 대해서 간단하게 사용법을 포스팅을 하려고합니다! 우선!@!!! Windows의 메모장 처럼 X 윈도에서 제공하는 편리한 에디터인 gedit 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윈도우즈의 메모장과 너무 흡사해서 따로 포스팅은 하지 않겠습니다. 터미널이나 텍스트모드에서 활용가능한 nano vi 이렇게 2개의 에디터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1. nano 에디터 텍스트모드에서도 편맇게 사용할 수 있는 nano에디터에 대해서 먼저 설명드리겠습니다. 터미널을 열고 cd 명령으로 홈 디렉터리로 이동합니다 *pwd 는 현재 디렉터리 경로를 출력시키는 명령어 그리고 nano 명령러를 입력하면 빈 파일창이 열립니다. nano 적당한 내용을 채워보겠습니다. 아래쪽 설명 과 같이.. 2022. 12. 2.
[리눅스 명령어] 리눅스 기본 명령어 /ls,cd,pwd,rm,cp,touch,mv,mkdir,rmdir,cat,head,tail,more,less,file,clear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리눅스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기본 명령어들을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최소한의 필수 명령어들만이라도 작성해보겠습니다. 이런 기본 명령어들은 그냥 외우는 것 보다 필요한 옵션을 사용해서 직접 입력해봐야 이해하기 쉽습니다!! 우선은 기본만 익히고 더 자세한 사용법을 알고 싶다면 man 명령어이름 이것을 자주 활용해보면 될 것같습니다!! ls ls는 List의 약자로 Windows의 dir명령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즉 해당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의 목록을 나열합니다. ls 현재 디렉터리 파일 목록 ls /etc/systemd /etc/systemd 디렉터리의 목록 ls -a 현재 디렉터리의 목록(숨김 파일 포함) ls -l 현재 디렉터리 목록을 자세히 보여줌 (영문자 엘) ls *.conf.. 2022. 12. 1.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