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블록체인 공부16 [블록체인 개념-4]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 - What is Ethereum Virtual Machine (*EVM) 이더리움 가상 머신(EVM)을 바로 설명전 기초 개념부터 ! 명령이란? 프로세서는 일련의 주어진 명령어를 실행하는 집적 회로이며, 각 프로세서에서는 수행할 수 있는 일련의 명령이 담겨있다. 명령은 연산 코드 (opcode) 와 연산에 사용할 입력 데이터로 구성된다. x86 명령어 세트는 현재 사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명령어 세트이며, 약 1000개의 고유 opcode를 가지고 있다. 이는 프로그램 순서대로, 맹목적으로 실행되는 명령세트이다. 어떤 코드든 컴파일 또는 인터프리트과정을 거치고 나면 일련의 원시 바이트로 회귀되며, 이는 펀치 카드이든 어셈블리로 적성했든 또는 파이썬과 같은 고급 언어로 작성되었든 마찬가지다. 이러한 원시 바이트는 컴퓨터가 아무 생각 없이 순서대로 실행할 수 잇는 일련의 프로세서 .. 2023. 1. 23. [블록체인 개념-3] 트랜잭션이란? - What is transaction 트랜잭션 트랜잭션(Transaction) 은 이더를 전송하거나 스마트컨트랙트를 배포하거나 배포된 스마트 컨트랙트의 함수를 실행한다. 이더전송 SC 배포 릴리즈된 SC의 함수 실행 위 3개를 대표적인 트랜잭션이라고 한다. 즉 거래 발생 시 실행되어지는 것과 그의 기록을 트랜잭션(TC)라고 한다. 트랜잭션은 코드 작업의 복잡성과 네트워크 비용을 결정하는 이더리움의 측정 단위인 GAS (가스) 를 소모한다. 트랜잭션의 가스 비용은 트랜잭션 수수료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트랜잭션을 실행하는 주소는 블록을 채굴하는 채굴자에게 트랜잭션 수수료를 지불한다. 트랜잭션에는 데이터 필드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컨트랙트 배포 트랜잭션의 경우, 그 데이터는 배포될 컨트랙트의 바이트코드가 된다. 스마트 컨트랙트를 호출.. 2023. 1. 23. [블록체인 개념-2]채굴이란? - What is mining 채굴(Mining)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채굴 노드는 이더해시(Ethash) 라는 독자적인 작업 증명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블록을 생성하고자 경쟁합니다. Ethash 알고리즘에 대한 입력은 논스(Nonce) 라고 하는 임의로 생성된 숫자를 포함하는 블록헤더이며, 그 출력이느 32byte 의 16진수이다. 논스를 수정하면 출력도 수정되는데, 이는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수정됩니다. 블록과 난이도 네트워크가 채굴된 블록을 수용하려면 블록헤더에 대한 Ethash 출력이 네트워크 난이도보다 적어야 하며, 또 다른 32byte 의 16진수가 채워질 대상으로 사용됩니다. 목표 난이도를 상회하는 블록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모든 채굴자는 블록 보상을 받습니다. 블륵 보상은 블록에 코인베이스 트랜잭션을 포함시킴으로써 부여됩니.. 2023. 1. 23. [블록체인 개념-1] 블록(Block)이란? - What is Block? 블록이란? 블록체인은 순서가 정렬된 블록으로 구성된다. 블록은 메타 정보를 담은 헤더(Header)와 일련의 트랙잭션으로 구성된다. 블록은 채굴자가 채굴해서 생성되고 네트워크의 다른 노드로 브로드캐스트된다. 모든 노드는 일련의 합의 규칙에 따라 수신된 블록을 확인합니다. 합의 규칙을 충족하지 못하는 블록은 네트워크에서 거부됩니다. 포크 포크(Fork) 는 네트워크가 합의 규칙을 두고 경쟁하는 둘 이상의 집합으로 나눠질 때 발생하는 이벤트 입니다. 대개 이더리움의 공식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인 Geth라는 소프트웨어가 업데이트될 때 포크가 발생합니다. 소프트 포크 새로운 규칙 집합이 이전 규칙의 하위 집합일 때 발생합니다. 여전히 이전 규칙을 사용하는 클라이언트도 새 규칙을 사용해 클라이언트가 만든 블록을 거.. 2023. 1. 23.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