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리눅스 SAMBA2

[Samba서버 설치와 운영-4] 리눅스에서 Samba설치 및 설정 - Samba서버 설치와 운영 진행순서 Samba서버 기초개념 설명 (리눅스->윈도우즈)Windows에서 폴더 공유 설정 (리눅스->윈도우즈)리눅스에서 Samba설치 후 접근 (윈도우즈->리눅스)리눅스에서 Samba설치 및 설정 (윈도우즈->리눅스)윈도우즈 설정 및 접근 Samba서버 설정 파일 Windows 에서 리눅스로 접근의 구성도 windows에서 리눅스의 자원을 사용하는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Samba서버를 설치하면 리눅스 컴퓨터가 Windows 컴퓨터처럼 사용된다는 의미다. 즉 리눅스 컴퓨터가 Windows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Windows 컴퓨터와 동등하게 나타난다는 의미입니다. 리눅스에 Samba 서버 설치 apt -y install samba 패키지 설치를 완료했습니다. Samba 디렉터리 공유 및 설정 이제 디렉터리.. 2023. 2. 5.
[Samba서버 설치와 운영-1] Samba서버 기초개념 - Samba서버 설치와 운영 이번 포스팅의 주제는 Samba서버 설치와 운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진행순서 Samba서버 기초개념 설명 (리눅스->윈도우즈)Windows에서 폴더 공유 설정 (리눅스->윈도우즈)리눅스에서 Samba설치 후 접근 (윈도우즈->리눅스)리눅스에서 Samba설치 및 설정 (윈도우즈->리눅스)윈도우즈 설정 및 접근 Samba서버 설정 파일 한 대의 컴퓨터에 여러 운영체제를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보편화 되었습니다. 특히 Windows 계열과 리눅스/유닉스 계열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이렇게 서로 다른 운영체제 사이의 자원을 공유하려고 개발된 것이 Samba 서버입니다. Samba서버를 사용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리눅스/유닉스에서 Windows의 자원을 사용 Window.. 2023. 2. 5.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