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의 주제는 Samba서버 설치와 운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진행순서
- Samba서버 기초개념 설명
- (리눅스->윈도우즈)Windows에서 폴더 공유 설정
- (리눅스->윈도우즈)리눅스에서 Samba설치 후 접근
- (윈도우즈->리눅스)리눅스에서 Samba설치 및 설정
- (윈도우즈->리눅스)윈도우즈 설정 및 접근
- Samba서버 설정 파일
한 대의 컴퓨터에 여러 운영체제를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보편화 되었습니다.
특히 Windows 계열과 리눅스/유닉스 계열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이렇게 서로 다른 운영체제 사이의 자원을 공유하려고 개발된 것이 Samba 서버입니다.
Samba서버를 사용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리눅스/유닉스에서 Windows의 자원을 사용
- Windows에서 리눅스/유닉스 자원을 사용
두 가지는 약간의 차이가 있어서 따로따로 학습을 해보았습니다.
그리고 이런 서버가 주로 시작하는 경우는
windows에서 폴더와 프린터를 공유해놓으면, Windows에서는 특별한 절차없이 공유된 폴더와 프린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Windows에서 공유해둔 폴더와 프린터를 리눅스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한가지 확인해야 할 것은 'Samba 서버'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Samba 클라이언트'만 존재하면 된다는 점입니다.
즉 Windows가 Samba 서버 역할을 해서 자신의 공유 폴더와 프린터를 제공하며,
리눅스는 Samba 클라이언트 역할을 해서 Windows가 제공한 폴더와 프린터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Windows는 기존과 같이 다른 Windows에 폴더와 프린터를 공유한다는 설정만 해놓으면
자동으로 Samba 서버 역할을 합니다.
Windows 클라이언트
- 윈도우즈에 자신의 자원을 사용할 사용자를 추가합니다.
- 윈도우즈의 자원을 공유시킬수 있습니다.
Server (Samba 클라이언트 역할)
- Samba 클라이언트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smbclient 명령으로 윈도우즈가 제공하는 자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smbmount 명령으로 윈도우즈가 제공하는 공유 폴더를 마운트 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Samba의 소스 파일을 다운로드 하거나 제서한 사용법을 알고 싶으면
www.samba.org 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Samba - opening windows to a wider world
Donations Nowadays, the Samba Team needs a dollar instead of pizza ;-)
www.samba.org
'리눅스공부 > 네트워크 서버 구축(FTP, NFS, Samba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mba서버 설치와 운영-3] 리눅스에서 Samba 설치 후 접근 - Samba서버 설치와 운영 (0) | 2023.02.05 |
---|---|
[Samba서버 설치와 운영-2] Windows에서 폴더 공유 설정 - Samba서버 설치와 운영 (0) | 2023.02.05 |
[NFS서버 설치와 운영-3] NFS 클라이언트 접속 - NFS서버 설치와 운영 (0) | 2023.02.05 |
[NFS서버 설치와 운영-2] NFS 서버 설치 설정 - NFS서버 설치와 운영 (0) | 2023.02.05 |
[NFS서버 설치와 운영-1] NFS 서버 개념 - NFS서버 설치와 운영 (0) | 2023.0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