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공부/설치 및 환경설정

[우분투 설치-2] 우분투 리눅스 사용자 설정/ 우분투 리눅스 Root계정 설정

by 으노으뇨 2022. 11. 27.
728x90
반응형
SMALL

지난 포스팅에서는 우분투 리눅스를 설치하는 포스팅을 작성했습니다.

https://uno-kim.tistory.com/235

 

[우분투 설치-1 : GNOME설치] 우분투 GNOME설치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서는 우분투 설치파일들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링크를 공유하면서 포스팅을 해보았습니다. https://uno-kim.tistory.com/234 [우분투 설치-0 : 우분투 설치파일 다운로드] 우

uno-kim.tistory.com

이번 포스팅은 우분투 리눅스레서 사용자를 설정하는 것을 기록해 보겠습니다.

1. 초기 로그인이후 설정

VMWare 워크스테이션 17 player를 실행합니다.

계정 로그인을 하고 처음 들어온다면

여기처럼 온라인 계정 창이 나옵니다. 

우선 오른쪽 위에있는 건너뛰기를 누릅니다.

LivePat초 창이 나오면 오른쪽 위에 있는 다음을 눌러줍니다.

시스템정보를 보내지 않는것을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개인정보 창이 나오면, 아무것도 누르지 않고 오른쪽 위에 있는 <다음>을 클릭합니다.

마지막으로 [시작할 준비가 되었습니다.] 창에서 <완료>를 누릅니다.

이제 가장 기본적인 사용자 설정이 첫번째 단계가 마무리 되었습니다.


2. root 계정 설정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 [Open in Terminal]을 선택해서 터미널을 엽니다.

터미널은 윈도우의 명령 프롬프트와 비슷한 것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리눅스는 마우스를 사용하는 GUI 환경보다 키보드를 사용하는 TUI 모드가 더 일반적입니다.

터미널을 연 모습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을 차례로 입력합니다.

다음 명령은 리눅스 관리자인 root를 활성화 시키고 비밀변호를 Passwork로 지정합니다.

명령 마지막에 "암호를 성공적으로 업데이트 했습니다."가 나오면 성공입니다.

sudo Su - root
ubuntu {사용자의 비밀번호 입력(ubuntu)}
passwd
root  {사용자가 사용할 비밀번호 2회 입력}

이것으로 비밀번호 재설정을 완료했습니다.

바탕화면의 오른쪽 위에서 화살표를 눌러줍니다.

아이콘을 클릭하고 [설정]을 선택한 후 [설정] 창의 메뉴에서 [사용자]를 선택합니다. [

사용자]의 오른쪽 위에 있는 <잠금 해제>를 클릭하고, ubuntu의 암호인 ubuntu를 입력한 후 <인증>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자동 로그인]의 끔을 클릭해서 항상 자동로그인 하게끔 한다.

완료된 모습입니다.


3. 사용자 계정 설정 2

사용자 계정 설정하는 것에 대해 진행하겠습니다.

다시 바탕화면에서 터미널을 실행시킵니다.

루트 계정으로 전환하고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nano /etc/gdm3/custom.conf

명령을 실행해서 custom.conf 파일을 엽니다.

중간쯤의 AutomaticLogin을 root로 변경하고 , security 아랫부분을 다음과 같이 수정합니다.

그후 컨트롤+X 를 누른 후 Y 와 엔터를 눌러서 내용을 저장합니다.

이렇게 나오는 화면에 위처럼 글을 작성한다면

위 사진처럼 값을 입력해줍니다.

저장은 컨트롤 + X , > Y > 엔터 

이렇게 하시면 텍스트 편집기 나오실 수 있으십니다.

이제 두번째로 비밀번호 관련된 셋팅을 해보겠습니다.

nano /etc/pam.d/gdm-password

이런화면에서 3번째 줄을 #을 붙여서 주석처리합니다.

이또한 저장하고 나옵니다.

nano /etc/pam.d/gdm-autologin

여기도 3번째 줄을 주석처리하고 저장합니다.

그리고 재부팅을 해보겠습니다.

이떄 명령명령프롬프트에서 재부팅하는것은

reboot

을 누르시면 재부팅이 하게됩니다.

이제부터 별도의 입력없이 root로 자동 로그인 됩니다.

로그인 이후 화면상단에 [관리자 권한으로 로그인] 경고 메시지가 나올 수 있지만 그냥 무시하면 됩니다.

물론 실무에서는 root로 바로 로그인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지만 만약 빠른 진행과 편의를 위한사람이 있다면

이렇게 사용자 설정을 하는 방법이있으니 그때그때 마다 설정하면 될것같습니다.

지금까지 우분투 리눅스 설정이었으며

root 자동 실행 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