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공부/설치 및 환경설정

[텍스트모드 설치-1] 리눅스 텍스트모드 설치

by 으노으뇨 2022. 11. 28.
728x90
반응형
SMALL

지난 포스팅은 우분투 리눅스를 설치하고 환경설정 했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리눅스를 텍스트 모드로 설치하는 것을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우선 텍스트모드는 설치가 빠르고 사용할때도 상당히 가볍게 운영됩니다.

X 윈도 시스템
X 윈도 시스템은 리눅스와 유닉스 대부분에서 사용되는 그래픽 환경 기반 시스템 소프트웨어로, 1984년 최초 공개한 후 지금 까지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MS Window의 경우 그래픽 화면이 운영체제의 전부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즉 MS Windows 에 그래픽 환경이 없다면 사용이 거의 어렵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리눅스 X윈도는 하나의 운영프로그램일 뿐 필수적인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아직도 많은 리눅스/유닉스 서버는 X윈도 없이 지금 설치하게될 "텍스트모드" 로만 사용됩니다.
텍스트 모드로 사용할 경우의 가장 큰 장점은 적은 컴퓨터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같은 성능의 서버로 더 빠른 고성능 서비스가 가능합니다.

우분투 서버용 ISO 파일을 가상머신에 설치

새로운 가상머신을 설치하기위해서 VMWare을 켜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동안은 Server에 설치를 하고 환경설정을 했었습니다.

이번엔 Server(B) 라는 곳에 설치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https://uno-kim.tistory.com/234

 

[우분투 설치-0 : 우분투 설치파일 다운로드] 우분투 리눅스 GNOME 모드 다운로드/ 우분투 텍스트모

안녕하세요 저번까지 리눅스 환경을 구축할 VMWare를 설치하고 환경 설정 및 특징에 대해서 했습니다. https://uno-kim.tistory.com/232 [서버환경설정-3] VMWare의 특징 / VMWare 설명 / VMWare 특성 / VMWare의 특징

uno-kim.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서 각 가상머신별 설치파일을 다운로드하는것을 포스팅 했었습니다.

이 파일을 가상머신에 설치해보겠습니다.

설치할 가상머신을 누르시고 Edit virtual machine settings 를 누릅니다.

그럼 위와 같이 CD/DVD를 누르시고 Connect at power on 체크가 되었는걸 확인해 주시고, 

Use ISO image file에 우리가 지난 포스팅에서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등록해줍니다.

그럼

이렇게 등록이 되게 됩니다.

등록이 되었다면 이제 이 가상머신을 시작해서 부팅을 해주도록 하겠습니다.

중간에 FAILED 와 같은 오류메시지가 나와도 계속 부팅이 됩니다. 기다린뒤 진행하시면 됩니다.

설치 진행이 마무리 된다면 언어 선택이 나옵니다. 


텍스트모드 설정 및 설치

이따 English가 선택된 상태에서 엔터를 눌러서 진행해줍니다.

영어 선택을 눌러줍니다.

지금 부터는 마우스가 작동하지 않으니 키보드로만 작업을 진행해야합니다. 그리고 텍스트 모드에서는 한글 입출력이 되지 않습니다.

만약 [Installer update available] 창이 나오면 [Continue without updating]이 선택된 상태에서 엔터키를 눌러서 넘어가 줍니다.

Done을 눌러서 진행해주세요

자동으로 IP 주소가 할당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192.168.111.129이지만 다른 주소라도 상관없습니다!

이또한 Done을 눌러서 진행합니다.

프록시에 관련된 설정입니다. 이또한 우선 Done을 눌러서 진행해 줍니다.

주소만 간단하게 확인해주세요 그리고 넘어가 줍니다.

지금 현재 Use an entire disk 부분에서 X표시가 되어있습니다.

키보드에서 Tab 버튼을 4번정도 눌러서 Done으로 이동해서 그대로 우선 진행해 줍니다.

탭으로 이렇게 이동한 모습

Storage configuration 이라는 설정창입니다. 기본적으로 Done으로 기본적으로 되어있습니다. 우선 그대로 진행해줍니다.

그럼 이제 이렇게 Confirm destuctive action 창이 나옵니다. 여기서 탭을 한번 눌러서 Continue로 이동하고 엔터를 눌러줍니다.

이렇게 이제 사용할 프로필을 작성하라고 합니다.

Your name : unbuntu
Your Server's name : server-b
Pick a username : unbuntu
Choose a password : unbuntu
Confirm your password : unbuntu

이렇게 진행했습니다.

다 작성이 완료되었으면 Done을 이용해서 넘어가겠습니다.

SSH Setup에서는 탭을 한번누러서 Done으로 이동해서 저장을 합니다.

SSH  Server는 나중에 다시 다뤄보겠습니다.

여기는 추가할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화면입니다. 탭을 눌러서 그냥 Done을 눌러서 그대로 진행합니다.

프로그램을 최소로 실행하고 필요할때마다 추가로 설치하는 방식을 사용하겠습니다.

이제 이 화면에서 부터 잠시동안 다운로드 및 설치가 진행됩니다. 그대로 두면 되겠습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쪽 [Reboot]가 초록색으로 활성화 됩니다. 이것을 눌러서 재부팅해줍니다.


이것으로 우선 텍스트모드 설치가 마무리 되었습니다.

여기 까지 텍스트모드로 리눅스 환경을 진행할 수있는 가상머신이 설치되었습니다.

다음 포스팅으로는 해당 텍스트모드의 가상머신에서 기본적인 사용자설정과 네트워크 설정 기타설정을 진행하는것을

포스팅해보겠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