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https://uno-kim.tistory.com/298
[개념] 마스터 네임 서버 / 리눅스 네임 서버 구축
마스터 네임 서버 마스터 네임 서버는 unokim.com 과 같은 도메인에 속해 있는 컴퓨터들의 이름을 관리하고 외부에서 www.unokim.com이나 나 ftp.unokim.com 등 컴퓨터 IP 주소를 알고자 할 때 해당 컴퓨터의
uno-kim.tistory.com
마스터 네임의 개념에 대해 이전글에 자세히 작성했습니다.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하는 것에 대해서는
- 웹 서버 설치, 설정
- FTP 서버 설치
- 도메인 설정
- 작동확인
- 네임 서버 사용
이렇게 총 5가지로 진행됩니다.
1. 웹 서버 설정
apt -y install apache2
apt -y install apache2 명령으로 웹 서버를 설치합니다.
systemctl restart/enable/status apache2
systemctl restart/enable/status apache2 명령으로 웹 서버의 작동/ 상시 가동/ 가동확인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systemctl status apache2
systemctl status apache2 명령으로 가동 확인 작업을 합니다.
ufw allow 80
명령으로 웹 서버의 포트 80번을 허용하게합니다.
cd /var/www/html
cd /var/www/html 명령으로 폴더를 이동한다.
rm index.html
기존의 index.html 을 제거하고새로 만든다.
gedit index.html
gedit index.html 명령으로 새로운 index.html 파일을 만들고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
<h1> hello World!!!</h1>
</br>
<h1> It's uno Page</h1>
이렇게 작성하고 저장을 한다.
이것으로 간단하게 5단계중 1단계인 웹서버 설치하고 설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리눅스공부 > 네임 서버 설치와 운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버구축-3]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 -3 - FTP 서버 설치 / 리눅스 마스터 네임 서버 구축 (0) | 2023.01.01 |
---|---|
[서버구축-2]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 -2 - FTP 서버 설치 / 리눅스 마스터 네임 서버 구축 (0) | 2022.12.31 |
[개념] 마스터 네임 서버 / 리눅스 네임 서버 구축 (0) | 2022.12.29 |
[서버구축-3] 윈도우즈에서 구축한 네임서버 접속하기 / 리눅스 네임 서버 구축 (0) | 2022.12.28 |
[서버구축-2] 리눅스 텍스트모드에서 구축한 네임서버 접속하기 / 리눅스 네임 서버 구축 (0) | 2022.1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