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글 FTP 서버 설처 https://uno-kim.tistory.com/300
[서버구축-2]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 -2 - FTP 서버 설치 / 리눅스 마스터 네임 서버 구축
지난 글 웹 서버 설치 및 설정 : https://uno-kim.tistory.com/299 [서버구축-1]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 -1 - 웹 서버 설치 / 리눅스 마스터 네임 서버 구축 https://uno-kim.tistory.com/298 [개념] 마스터 네
uno-kim.tistory.com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하는 것에 대해서는
웹 서버 설치, 설정FTP 서버 설치- 도메인 설정
- 작동확인
- 네임 서버 사용
이번 포스팅은 3번째 도메인 설정입니다.
1. john.com 도메인에 대해 설정한다.
nano 에디터나 gedit으로 /etc/bind/named.conf 파일을 연다.
gedit/etc/bind/named.conf
설정파일에 네모칸의 설정을 넣어준다.
네임 서버는 설정 파일이 한 글자라도 틀릴 경우 데몬 자체가 가동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서 입력해야합니다.
물론 대 소문자도 정확히 모두 구분되어야 합니다.
/etc/named.conf 파일
/etc/bind/named.conf 파일은 네임 서버 서비스가 시작될 때 제일 먼저 읽는 파일입니다.
설정 형식중에서 중요한 부분은
zone "( 도메인 이름 )" IN { type hind 또는 master 또는 slave; -> 마스터 네임 서버는 master file "( 파일이름 )" -> options의 directory에 생성될 '도멘인이름'의 상세 설정 파일 }
2. 설정이 잘 되었는지 확인
named-checkconf 명령으로 입력한 내용에 틀린것이 없는지 확인한다.
named-checkconf
3. 도메인 관련 파일 생성
touch john.com.db
명령어를 통해서 /etc/bind 디렉터리에 unokim.com.db라는 이름의 빈 파일을 생성한다.
이 파일을 포워드 존 파일 또는 정방향 영역 파일이라고 부릅니다.
gedit 이나 nano 로 john.com.db 파일을 열고 다음 내용을 입력합니다.
$TTL 3H
@ IN SOA @ ROOT. ( 1D 1H 1W 1H )
@ IN NS @
IN A 192.168.111.55
WWW IN A 192.168.111.55
ftp IN A 192.168.111.155
192.168.111.55 은 네임 서버 겸 웹 서버 역할을 할 것이며, 192.168.111.155 FTP 서버역할을 할 것입니다.
named-checkzone john.com john.com.db
명령을 입력해서 설정한 파일의 문법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다.
포워드 존 파일이란?
포워드 존 파일의 문법을 몇개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세미콜론); | 주석을 의미한다. |
$TTL | Time To Live www.unokim.com 의 호스트 이름을 질의해 갔을 때, 질의해간 다른 네임 서버가 해당 IP 주소를 캐시에 저장하는 시간을 말합니다. 3H 는 (3시간을) 을 의미합니다. |
@ | /etc/bind/named.conf 에 정의된 unokim.com를 의미합니다. |
IN | 클래스 이름으로 internet 을 의미한다. |
SOA | Start Of Authority 약자를 권한의 시작을 뜻합니다. 괄호안의 숫자는 시간을 의미하는데 차례로 serial ( 버전정보 ), refresh ( 상위 네임 서버에 업데이트된 정보를 요청하는 간격 ) , retry ( 상위 네임 서버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재접속 간격 ) , expire ( 상위 네임 서버에 접속하지 못할 경우 이전의 정보를 파기하는 간격 ) , minimum ( 이 시간 이후 정보가 삭제됨 ) 을 말한다. 여기서 H 는 Hour , D 는 Day , W 는 Week의 약자입니다. |
NS | Name Server 의 약자로, 설정된 도메인의 네임 서버 역할을 하는 컴퓨터를 지정한다. |
MX | Mail Exchanger의 약자로, 메일 서버 컴퓨터를 설정한다. |
A | 호스트 이름에 상응하는 IP 주소를 지정한다. |
CNAME | 호스트 이름에 별칭을 부여할 때 사용한다. |
4. 설정 적용확인
설정한 내용을 적용하기 위해
systemctl restart/status bind9 또는
systemctl restart/status named
명령으로 네임 서비스를 재시작하고 확인합니다.
ufw status
명령으로 53번, 80번 포트가 허용되어있는지 확인한다.
이렇게 해서 텍스트모드로 FTP 서버구축했고, 우분투환경에서는 네임 서버와 웹 서버 용도로 구축했다.
다음엔 작동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리눅스공부 > 네임 서버 설치와 운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념] 라운드 로빈 방식의 네임 서버 / 리눅스 네임 서버 구축 및 설치 (0) | 2023.01.03 |
---|---|
서버구축-4]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 -3 - FTP 서버 설치 / 리눅스 마스터 네임 서버 구축 (0) | 2023.01.02 |
[서버구축-2]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 -2 - FTP 서버 설치 / 리눅스 마스터 네임 서버 구축 (0) | 2022.12.31 |
[서버구축-1]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 -1 - 웹 서버 설치 / 리눅스 마스터 네임 서버 구축 (0) | 2022.12.31 |
[개념] 마스터 네임 서버 / 리눅스 네임 서버 구축 (0) | 2022.12.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