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글 웹 서버 설치 및 설정 : https://uno-kim.tistory.com/299
[서버구축-1]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 -1 - 웹 서버 설치 / 리눅스 마스터 네임 서버 구축
https://uno-kim.tistory.com/298 [개념] 마스터 네임 서버 / 리눅스 네임 서버 구축 마스터 네임 서버 마스터 네임 서버는 unokim.com 과 같은 도메인에 속해 있는 컴퓨터들의 이름을 관리하고 외부에서 www.un
uno-kim.tistory.com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하는 것에 대해서는
웹 서버 설치, 설정- FTP 서버 설치
- 도메인 설정
- 작동확인
- 네임 서버 사용
이번 포스팅은 2번째 FTP 서버 설치 및 설정입니다.
2. FTP 서버 설치
서버 설치는 리눅스 텍스트모드에서 진행하겠습니다.
apt -y install vsftpd
apt -y install vsftpd 명령으로 FTP 서버를 설치한다.
ufw allow 21
ufw allow 21 명령으로 방화벽 설정을 허용합니다.
/srv/ftp 디렉터리로 이동한 후 touch welcome.msg 명령으로 welcome.msg 라는 빈 파일을 생성한다.
nano 에디터로 welcome.msg 파일 안에 다음 내용을 채운 후 ctrl + x , y , Enter 를 차례로 눌러 저장하고 닫는다.
cd /src/ftp
nano -c /etc/vsftpd.conf
nano -c /etc/vsftpd.conf 명령으로 파일을 엽니다.
그리고 28행 쯤의
'anonymous_enable=NO'를 YES 로 변경한다.
그리고 그 아래에
'banner_file=/srv/ftp/welcome.msg' 를 추가한 후 저장하고 닫는다.
지금 진행한 작업은 외부에서 anonymous 사용자로 접속을 허용하고 FTP 서버로 접속했을 때 /srv/ftp/welcome.msg 파일의 내용을 환영 메시지로 보여주라는 의미이다.
systemctl restart vsftpd
systemctl restart vsftpd 명령어로 FTP 서버를 시작합니다.
확인한 모습
이로 써 간단한 FTP 서버가 구축되었습니다.
'리눅스공부 > 네임 서버 설치와 운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버구축-4]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 -3 - FTP 서버 설치 / 리눅스 마스터 네임 서버 구축 (0) | 2023.01.02 |
---|---|
[서버구축-3]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 -3 - FTP 서버 설치 / 리눅스 마스터 네임 서버 구축 (0) | 2023.01.01 |
[서버구축-1] 마스터 네임 서버 설치하고 운영 -1 - 웹 서버 설치 / 리눅스 마스터 네임 서버 구축 (0) | 2022.12.31 |
[개념] 마스터 네임 서버 / 리눅스 네임 서버 구축 (0) | 2022.12.29 |
[서버구축-3] 윈도우즈에서 구축한 네임서버 접속하기 / 리눅스 네임 서버 구축 (0) | 2022.1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