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공부/네트워크 서버 구축(FTP, NFS, Samba 등)

[FTP서버 설치와 운영-1] FTP 서버 설치 및 환경설정 - FTP서버 설치와 운영

by 으노으뇨 2023. 2. 1.
728x90
반응형
SMALL
FTP (File Transfer Protocal)는 파일을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전용 서비스입니다.
예전에는 널리 사용하였으나, 웹환경이 일반화 되면서 FTP의 고유 기능인 파일 전송을 웹에서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되어서 인기가 많이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성능이 매우 뛰어나므로 파일 전송이 목적이 사이트에서는 이 서비스를 계속 제공하고 있다.

[FTP서버 설치와 운영-1] FTP 서버 설치 및 환경설정 - FTP서버 설치와 운영

진행순서 

  1. vsftpd 설치와 설정
  2. FTP 서버 접속
  3. ProFTPD설치와 운영

vsfpd (Very Secure FTPD) 는 우분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며, 리눅스와 유닉스 환경에서 보안성과 성능이 우수한 FTP 서버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vsftpd는 설치, 운영이 쉬우므로 리눅스 환경에서 FTP 서버를 운영하는데 많이 사용한다.
이용관련된 내용이나 소스파일의 다운로드는 https://secourity.appspot.com/vsftpd.html 에서 할 수 있다.

vsftpd 설치와 설정

패키지 설치

apt -y install vsftpd

명령을 입력해서 vsftpd 패키지를 설치한다.

설치가 간단하게 완료된 모습

환경설정

일반적으로 FTP 의 용도는 익명 사용자의 접속을 허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익명 사용자의 허용 여부는 /etc/vsftpd.conf 파일에 설정되어있다.

gedit /etc/vsftpd.conf

25행쯤 : anunymous_enable=NO => YES
31행쯤 : #write_enable=YES => 주석제거(#)
40행쯤 : #anon_upload_enable=YES => 주석제거(#)
44행쯤 : #anon_mkdir_write_enable=YES => 주석제거(#)
vsftpd 설정파일에 대한 설명
옵션 내용
anonymous_enable:anonymous 익명 사용자의 접속을 허가 여부 
local_enable 로컬 사용자의 접속 허가 여부
write_enable 로컬 사용자가 저장, 삭제, 디렉터리 생성 등의 명령을 실행하게 할지 여부
anon_upload_enable 사용자의 파일 업로드 허가 여부
anon_mkdir_write_enable 사용자의 디렉터리 생성 허가 여부 
dirlist_enable 접속한 디렉터리 파일 리스트 보여줄지 여부
download_enable 다운로드의 허가 여부
listen_port 서비스의 포트 번호 설정
deny_file 업로드 금지 파일 지정
hide_file 보여주지 않을 파일 지정
max_client 서버의 동시 최대 접속자수  지정
max_per_ip 1개의 PC가 동시 접속할 수 있는 접속자  지정

모든사용자에게 읽기/ 쓰기 권한을 부여한다.

cd /
cd /srv/ftp
mkdir pub
chmod 777 pub
cd pub
mkdir file1
cp /boot/vmlinuz-* file1
ls -l

이것으로 vsftpd 서비스가 준비되었다.

아래의 명령으로 서비스를 시작하고 확인해봅니다.

systemctl restart vsftpd
systemctl enable vsftpd
systemctl status vsftpd

정상작동된 모습

외부에서 FTP 서버에 접근하도록 방화벽 설정을 해줍니다.

ufw disable

방화벽이 종료된 모습

이것으로 vsftpd 패키지 설치를 완료했고 설정까지 완료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윈도우 클라이언트에서 FTP 서버에 접속해서 파일을 업로드/다운로드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