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이번엔 파일서버의 다른 종류인 NFS 서버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고자합니다.
진행순서
- NFS서버 개념
- NFS서버 설치와 설정
- 클라이언트에서 접속
이렇게 총 3가지 순서로 진행하겠습니다.
NFS 서버 개념
어려운 느낌의 개념은 다른 백서나 위키, 블로그를 참고하시면 되고 저는 초보자 비전공자, 아무런 관련이없는 사람들이 알아들을수 있고 면접시 누군가 물어보면 답할정도로 정리만 하고있습니다. 참고해주세요
파일서버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이는 우리가 사용하는 PC에는 여유공간이 별로없지만 다른 한곳에는 용량이 많다면 우리는 그 용량이 많은것을 공유 하고 싶어집니다.
또 서로 여유 공간이 있더라도 공통으로 사용되는 파일이라면 각자의 컴퓨터에 해당 파일을 모두 저장하기 보다는
1대의 PC에만 저장을하고 그것을 공유하는것이 훨씬 효율 적입니다.
요즘엔 그다지 많이 쓰이지 않지만 이렇게 리눅스 컴퓨터끼리 저장공간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가
NFS (Network File System)입니다.
NFS 서버 구현
Windos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끼리 간단하게 폴더(디렉터리)를 공유할 수 있지만
리눅스는 대두분 명령어로 작업을 해야하므로 Windows 보다는 좀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합니다.
NFS의 개념은 아래와 같습니다.
- NFS 서버에 관련 패키지를 설치한다.
- NFS 서버의 /etc/exports에 공유할 디렉터리, 접근을 허가할 컴퓨터, 접근 권한을 지정한다.
- NFS 서비스를 실행한다.
- NFS 클라이언트에 관련 패키지를 설치한다.
- NFS 클라이언트에 showmount 명령을 실행해 NFS 서버에 공유된 디렉터리가 있는지 확인한다.
- NFS 클라이언트에 mount 명령을 실행해 NFS 서버에 공유된 디렉터리를 마운트한다.
NFS 클라이언트는 마운트된 ~/myShare 디렉터리에 접근할 경우 자동으로 NFS 서버의 /share 디렉터리에 접근하는 효과를 낸다.
728x90
반응형
LIST
'리눅스공부 > 네트워크 서버 구축(FTP, NFS, Samba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NFS서버 설치와 운영-3] NFS 클라이언트 접속 - NFS서버 설치와 운영 (0) | 2023.02.05 |
---|---|
[NFS서버 설치와 운영-2] NFS 서버 설치 설정 - NFS서버 설치와 운영 (0) | 2023.02.05 |
[FTP서버 설치와 운영-3] ProFTPD 설치하고 운영 - FTP서버 설치와 운영 (0) | 2023.02.01 |
[FTP서버 설치와 운영-2] FTP 서버 설치 및 환경설정 - FTP서버 설치와 운영 (0) | 2023.02.01 |
[FTP서버 설치와 운영-1] FTP 서버 설치 및 환경설정 - FTP서버 설치와 운영 (0) | 2023.0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