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FTP (File Transfer Protocal)는 파일을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전용 서비스입니다.
예전에는 널리 사용하였으나, 웹환경이 일반화 되면서 FTP의 고유 기능인 파일 전송을 웹에서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되어서 인기가 많이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성능이 매우 뛰어나므로 파일 전송이 목적이 사이트에서는 이 서비스를 계속 제공하고 있다.
[FTP서버 설치와 운영-1] FTP 서버 설치 및 환경설정 - FTP서버 설치와 운영
진행순서
vsftpd 설치와 설정- FTP 서버 접속
- ProFTPD설치와 운영
FTP 서버 접속
프리웨어 FTP 클라이언트인 FileZilla를 사용해서 FTP 접속하고 업로드와 다운로드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https://filezilla-project.org
접속해서 최신의 windows용 File zillia 클라이언트를 설치합니다. - anfyqjwjsdmf tjfclgkqslek.
약 12메가 정도이며, 이외 많이 사용하는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알드라이브, CuteFTP, LeapFTP"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설치를 진행해줍니다. 모두 기본값으로 설치합니다.
FilzZillia 를 실행한 후 호스트에는 리눅스서버의 IP 주소를 입력하고
사용자에는 anonymous를, 비밀번호에는 아무거나 입력후
빠른연결을 클릭합니다.
insecure FTP connection 창이 나오면 Always allow insecure plain FTP for this server를 눌룹니다.
접속된 상태는 아래와 같습니다.
FTP클라이언트로 업로드/다운로드
[디렉터리 만들고 그 안으로 이동] 을 선택해서 적당한 디렉터리를 만듭니다.
오른쪽의 리모트 사이트에서 /pub 디렉터리를 더블클릭합니다.
리모트 사이트 아래에 필요한 파일을 로컬사이트아래로 드래그하여 가져오면 다운로드가 진행됩니다.
이번엔 적당한 파일을 골라서 업로드를 해봅니다.
업로드할땐 다운로드와 반대로 리모트부분에 파일을 끌어나 놓으면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리눅스공부 > 네트워크 서버 구축(FTP, NFS, Samba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NFS서버 설치와 운영-3] NFS 클라이언트 접속 - NFS서버 설치와 운영 (0) | 2023.02.05 |
---|---|
[NFS서버 설치와 운영-2] NFS 서버 설치 설정 - NFS서버 설치와 운영 (0) | 2023.02.05 |
[NFS서버 설치와 운영-1] NFS 서버 개념 - NFS서버 설치와 운영 (0) | 2023.02.05 |
[FTP서버 설치와 운영-3] ProFTPD 설치하고 운영 - FTP서버 설치와 운영 (0) | 2023.02.01 |
[FTP서버 설치와 운영-1] FTP 서버 설치 및 환경설정 - FTP서버 설치와 운영 (0) | 2023.0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