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진행순서
Samba서버 기초개념 설명(리눅스->윈도우즈)Windows에서 폴더 공유 설정(리눅스->윈도우즈)리눅스에서 Samba설치 후 접근(윈도우즈->리눅스)리눅스에서 Samba설치 및 설정(윈도우즈->리눅스)윈도우즈 설정 및 접근- Samba서버 설정 파일
이전 포스팅에서 사용해본 Samba 서버의 설정 파일은
/etc/samba/smb.conf
위치에 있습니다.
이 파일의 문법 중 중요한 부분 몇가지를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우선 #과 ;(세미클론)은 주석 행을 의미합니다. #은 주로 설명을 위한 주석이며
; (세미콜론)은 바로 제거한 후 사용하도록 붙인 일시적인 주석입니다.
[global] - 모든 자원의 공유를 위한 설정
workgroup | Windows의 작업 그룹 이름 |
server string | Windows의 네트워크에 보이는 컴퓨터 이름 (생략 가능) |
netbios name | Windows의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컴퓨터 이름 |
hosts allow | Samba 서버에 접속을 허용할 컴퓨터의 IP주소 또는 네트워크 주소 또는 컴퓨터 이름 |
log file | Samba 서버에 접속하는 컴퓨터의 접속 기록 파일 |
security | user (우분투에 포함된 버전은 share를 허용하지 않음) |
[공유 이름] - 공유하는 디렉터리 설정
comment | 공유하는 디렉터리 설명, 생략 가능 |
path | 물리적인 디렉터리 |
read only | 디렉터리에 쓰기 권한이 있는지 여부, yes는 읽기 전용, no는 읽기/쓰기 허용 |
browseable | 공유 리스트를 보여줄지 여부 |
guest ok | 다른 사용자도 사용하게 할지 여부 |
더 상세한 옵션은
man smb.conf
명령으로 확인하면됩니다.
에디터로 직접 /etc/samba/smb.conf 파일을 수정한 후에는 문법상 오류가 없는지 체크하는 것이 좋습니다.
testparm
명령을 실행하면 smb.conf 파일의 오류를 검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리눅스공부 > 네트워크 서버 구축(FTP, NFS, Samba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DHCP서버설치와 운영-2] 각 환경별 네트워크 설정 - DHCP서버설치와 운영 (0) | 2023.02.06 |
---|---|
[DHCP서버설치와 운영-1] DHCP서버의 개념 - DHCP서버설치와 운영 (0) | 2023.02.06 |
[Samba서버 설치와 운영-5] 윈도우즈에서 리눅스 폴더와 자원사용(접근) - Samba서버 설치와 운영 (0) | 2023.02.05 |
[Samba서버 설치와 운영-4] 리눅스에서 Samba설치 및 설정 - Samba서버 설치와 운영 (0) | 2023.02.05 |
[Samba서버 설치와 운영-3] 리눅스에서 Samba 설치 후 접근 - Samba서버 설치와 운영 (0) | 2023.0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