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순서
DHCP 서버의 개념- 각 환경별 네트워크 설정
- DHCP 서버 설치 및 설정
- IP정보를 할당받기
DHCP 서버를 구현해 보겠습니다.
VMWare 소프트웨어는 자체적으로 게이트웨이, 네임 서버, DHCP 서버의 세가지 역할을 모두 다 할 수 있다.
이번에는 게이트웨이와 네임서버는 VMWare 가 기존에 제공하던 192.168.111.2 를 변경없이 사용한다.
하지만 DHCP 서버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려면 Vmware가 제공하는 DHCP 서버의 기능을 중지시켜야합니다.
지금 그림에서처럼 Windows환경, 쿠분투의 쿨라이언트 , 텍스트모드 클라이언트, 우분투GUI 환경 총 4개의 가상 머신은
허브로 연결된 사설 네트워크로 연결되어있다.
그러므로 각 클라이언트가 부팅 될 때마다 Server는 클라이언트로 네트워크 정보 (IP주소, 게이트웨이, 네임서버주소, 서브넷 마스크 등)을 알려줄 것이다.
네트워크 환경 확인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선택한다.
[IPv4] 탭의 [방법]이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DHCP 서버에서 자동으로 IP 주소를 할당받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터미널에서 ifconfig 명령을 입력해서 할당된 IP를 확인합니다.
설정된 는 VM 웨어가 제공하는 DHCP 서버에서 할당받은 IP 주소입니다.
cat /etc/resolv.conf
nameserver(DNS 서버) 가 127.0.0.53으로 설정된 것은 설정된 네임서버를 사용하겠다는 의미입니다.
VMWare의 DHCP 서버가 네임서버를 192.168.111.2로 전송하므로 이 부분에는 192.168.111.2가 적혀있는것과 동일합니다. 현상태에서는 당연히 인터넷이 잘 작동합니다.
VMWare WorkStation을 통한 DHCP 서버 기능 중지
우분투의 환경에서 DHCP 서버를 구축할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우선 VMWare에서 자동으로 켜져있는 DHCP 서버기능을 중지시켜줍니다. 또 VMware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정보도 미리 확인합니다.
File > Virtual Network Editor를 눌러서 열어줍니다.
VMWare가 제공하는 사설 네트워크환경은 Vmnet1과 Vmnet8 2가지다. 이 주 ㅇVmnet1은 폐쇄된 사설 네트워크이며, Vmnet8이 우리가 계속 사용해오던 일반적인 환경의 사설 네트워크입니다.
그리고 위의 설정창에서 나온 정보를 확인해줍니다.
두번 째로는 <Nat settings>를 클릭해서 Gateway IP부분을 확인합니다.
게이트웨이 (라우터)의 정보가 확인되었습니다. 이 게이터웨이가 DNS 서버 역할도 수행하므로 DNS 서버의 IP 주소도 확인된 것으로 보면 됩니다. 우리는 192.168.111.2로 확인될 것입니다.
이제 직접 구축할 DHCP 서버를 사용하기 위해서 VMware가 제공하는 DHCP 서버 기능을 끕니다.
Vmnet8을 선택하고 Use local DHCP service to distribute IP address to VMs 를 체크해제하고 저장합니다.
다시 네트워크 환경 확인
이젠 VMware가 제공하던 DHCP 서버가 꺼진 상태이며, 사설 네트워크안에 아직 DHCP 서버가 구축되지 않은상태입니다.
그 중단단계이니 한번 확인해줍니다.
저의 경우는 재부팅을 하고 다시 설정을 통해 확인하였습니다.
터미널을 열고 ifconfig명령으로 IP 주소를 확인했습니다.
이 상태에서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면 당연히 아무곳에도 접속되지 않게됩니다.
이것으로 기존 DHCP서버를 기본으로 할당받는것을 확인하고
VMWare의 경우에서는 DHCP 주소를 자동으로 받는것을 해제했으며
그렇게 해제되어서 IP를 자동으로 할당받지 못하는 상태를 확인해봤습니다.
다음 포스팅으로는 DHCP 서버를 구축하고 설정하는 것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리눅스공부 > 네트워크 서버 구축(FTP, NFS, Samba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DHCP서버설치와 운영-4] DHCP서버의 IP 정보 할당 받기 - DHCP서버설치와 운영 (0) | 2023.02.07 |
---|---|
[DHCP서버설치와 운영-3] DHCP서버설치 및 설정 - DHCP서버설치와 운영 (0) | 2023.02.07 |
[DHCP서버설치와 운영-1] DHCP서버의 개념 - DHCP서버설치와 운영 (0) | 2023.02.06 |
[Samba서버 설치와 운영-6] Samba서버 설정 파일 - Samba서버 설치와 운영 (0) | 2023.02.05 |
[Samba서버 설치와 운영-5] 윈도우즈에서 리눅스 폴더와 자원사용(접근) - Samba서버 설치와 운영 (0) | 2023.0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