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생명 주기의 전 과정 동안에 사용될 노력의 분포를 가정해주는 모형Putnam 모형
1. 푸트남이 제안한 것으로 생명 주기 예측 모형이라고도 함
2. 시간에 따른 함수로 표현되는 rayleigh-norden 곡선의 노력 분포도를 기초로 함
3. 대형 프로젝트의 노력 분포 산정에 이용되는 기법임
4. 개발 기간이 늘어날수록 프로젝트 적용 인원의 노력이 감소함
예를들어 처음에 1일 10개만들다가 10일후에 보니까 그사람이 1일 30개 만드는 그런것?
푸트남이라는 사람이 reyleigh-norden 곡선을 썻다는게 핵심임
비용 산정 공식
개발노력 MM = L^3 / CK^3*Td^4
L = 가장많이 측정된 코드라인수
Ck = 환경상수 (빈양환경 = 2000, 좋은환경 = 8000, 나쁜환경 = 12000)
Td = 개발기간

기능 점수(Fonction Point) 모형
Albrecht가 제안한 것으로,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증대시키는 요인별로 가중치를 부여하고, 요인별 가중치를 합산하여 총 기능 점수를 산출한 뒤 총 기능 점수와 영향도를 이용하여 기능 점수 (FP)를 구해 비용을 산정하는 기법
예를들어 : 중간(40퍼)/기말(50퍼)/출결(10퍼) 이런 비중일때, 중간(90점), 기말(100점), 출결(100점) 이렇게 해서 서로 계산을 통해 구하는 것과 비슷하다. (90*0.4 + 100*0.5 + 100*0.1 = 총점)
비용 산정 공식
기능점수 = 총 기능 점수 * [0.65+(0.1-총영향도)]
발표초기 : 별로관심을 받지 못함
최근 : 유용성과 간편성으로 비용 산정 기법 가운데 최선이라는 평가를 받음
기능별 가중치
소프트웨어 기능증대 요인 | 가중치 | ||
단순 | 보통 | 복잡 | |
자료입력(입력양식) | 3 | 4 | 6 |
정보출력(출력 보고서) | 4 | 5 | 7 |
명령어(사용자 질의 수 ) | 3 | 4 | 5 |
데이터 파일 | 7 | 10 | 15 |
필요한 외부 루틴과의 인터페이스 |
5 | 7 | 10 |
자동화 추정 도구
비용산정의 자동화를 위해 개발된 도구
종류 :
자동화 추정 도구
SLIM : rayleigh-norden 곡선과 Putnam예측 모델을 기초로 하여 개발된 자동화 추정도구
푸트남 라이레이노든곡선은 슬림하다
ESTIMACS : 다양한 프로젝트와 개인별 요소를 수용하도록 FP모형 기초로 하여 개발된 자동화 추정 도구
Q : putnam 모형을 기초로 해서 만든 자동화 추정도구는?
1.BLY
2.SLIM - 아까 위에처럼 푸트남 곡선은 슬림하다!
3.ESTIMACS
4.PERT
Q : 다음의 자동화 예측 도구중 rayleigh-norden 곡선과 putnam의 예측모델에 기반을 둔것은?
1.SLIM - 또 슬림하다...! 정답임
2.ESTIMACS
3.SPQR/20
4.WICOMO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