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리눅스공부99 [bash셸] 리눅스 셸 프로그래밍 / bash 셸의 이해 셸은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해석해 커널로 전달하거나, 커널의 처리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우분투의 bash 셸 우분투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셸은 bash이다. (이걸 배시 셸 이라고 한다.) 이는 BourneShell을 기반으로 Korn Shell과 C shell의 좋은 점을 합한 것으로 보면 된다. bash의 특징 Alias 기능 (명령 단축 기능) History 기능 연산 기능 Job Control 기능 자동 이름 완성 기능 프롬프트 제어 기능 명령 편집 기능 * alias 명령은 긴 명령을 줄여서 사용할 때 편리하다. 예를들어 ls -al 명령을 ls2라는 명령으로 사용하고 싶다면 alias ls2="ls -al" 명령으로 정의하면 된다. 셸의 명령문 처리 방법 셸 명령문은 명.. 2022. 12. 20. [개념] 리눅스의 서비스와 소켓 서비스 데몬이라고도 부르는 서비스는 서버 프로세스를 말한다. 즉 서비스는 웹 서버, 네임 서버, DB 서버 등의 프로세스를 지칭한다. 또는 웹 서버 데몬, 네임 서버 데몬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서비스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현재 시스템에서 동작 중인 프로세스이므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 서비스와 소켓 서비스는 평상시에도 늘 가동하는 서버 프로세스이며, 소켓은 필요할 때만 작동하는 서버프로세스이다. 서비스와 소켓은 systemd라는 서비스 매니저 프로그램으로 작동시키거나 관리한다. *systemd 는 운영체제의 가장 처음에 시작되는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우분투 15.0.4부터 systemd의 모든 기능이 작동되며, systemd가 서비스대부분을 관리한다. 서비스 서비스의 특징 시.. 2022. 12. 19. [실제구동] 포그라운드 프로레스와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무한 루프를 도는 프로세스를 중지 하는 방법 터미널에서 yes > /dev/null 명령으로 무한 루프를 도는 단순한 프로세스를 생성 명령프롬프트 창을 하나더 열어서 ps -ef | grep yes 명령으로 프로세스 번호를 확인한다. 사진을 보면 제일 앞에 나오는 root는 소유주, 그 다음 3404는 프로세스 번호, 3393은 부모 프로세스 번호이다. 프로세스 번호를 확인했다면 kill -9 프로세스 번호 명령으로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kill 명령어로 프로세스를 종료하면 기존의 다른 터미널에서 실행되던 것이 자동으로 종료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현재 작동중인 포그라운드 프로세스를 그냥 종료하려면 프로세스가 실행되고 있는 터미널에서 컨트롤+C 를 눌러도 된다. 포그라운드 프로세스 -> 백그라.. 2022. 12. 18. [개념] 프로세스/데몬/서비스 리눅스나 유닉스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는 조금 생소한 용어일 수 있으므로 정리해 보았다. 프로세스 프로세스를 정의하면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실행 코드(프로그램)가 메모리에 로딩되어 활성화 된 것' 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인 FireFox 는 하드디스크의 어딘가에 저장되어 있을 것이다. 이러헥 하드에 저장된 파일을 '프로그램'이라고 부르며, Fire Fox 를 실행해서 화면에 나타난 상태( 더 정확히 표현하면 메모리에 로딩된 상태 ) 를 '프로세스'라고 부른다. 포그라운드 프로세스 포그라운드 프로세스는 Fire Fox 등의 프로그램을 실행했을 때 화면에 나타나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프로세스를 말한다. 즉, 화면에서 실행되는 것이 보이는 프로세스라고 생각하면 된다. 백그라운.. 2022. 12. 18. [개념] 파이프/필터/리디렉션 리눅스의 기본 동작과 관련하여 중요한 개념인 파이프와 필터, 리디렉션을 이해해보자. 파이프 파이프란 2개의 프로그램을 연결하는 연결통로로 의미한다. ' | ' 를 사용함 (시프트 + \ ) 를 누른글자 ls -l /etc | less ls-l /etc 명령을 입력하면 파일이 너무 많이서 1페이지에 모두 담을 수 없으므로, 1페이지씩 나눠서 보겠다는 의미이다. 필터 필터란 필요한 것만 걸러주는 명령어다. grep, tail, wc, sort, awk, sed 명령어 등이 있다. 주로 파이프와 같이 사용된다. ps -ef | grep bash ps -ef 명령을 입력하면 모든 프로세스 번호를 출력하므로, bash 라는 글자가 들어간 프로세스만 출력한다. 리디렉션 리디렉션은 표준 입출력의 방향을 바꿔준다. 표.. 2022. 12. 18. [네트워크 설정] DNS 서버설정을 통해 서버상태 확인하기 인터넷이 안될 경우 DNS 서버의 고장 대문인지, 아니면 다른 문제 인지 확인해봐야한다. 또는 DNS 서버를 직접 구축한 후 제대로 작동하는지 테스트할 때도 사용하는 방법이다. DNS 서버에 일부러 문제를 발생시켜서 확인하는 방법으로 진행하겠습니다. 현재 네트워크 상태가 정상적인지 확인한다. 이번에는 DNS 서버에 일부러 DNS 서버에 문제를 발생시켜 보겠습니다. nano나 gedit으로 /etc/resolv.conf 파일을 열어서 127.0.0.xx 를 100.100.100.100으로 고친 후 저장하고 닫아보겠습니다. 아까 킨 웹브라우저를 닫고 다시 실행한 후 www.nate.com 접속해보겠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인터넷이 되지 않으면 DNS 서버 문제인지, IP 설정이 잘못 되었는지 바로 알기 가 어.. 2022. 12. 18. [네트워크 설정] 네트워크 설정파일을 변경하고 설정하는 법 리눅스네트워크 설정파일을 변경하고 설정하는 법 터미널을 열고 nm-connection-editor명령어를 입력 [네트워크 연결] 창에서 설정된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해본다. 현재 눌렀을때 보통 위와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네트워크 열결] 창에서 설정 아이콘을 클릭하고, [IPv4 설정] 탭을 선택한다. 장치 이름은 '유선 연결' 1이며, IP 주소는 192.168.111.100, 넷마스크는 24(255.255.255.0)), 게이트웨이 주소와 DNS servers의 주소는 192.168.111.2로 설정되어 있다. 간단하게 [주소]를 192.168.111.55 로 변경하고 을 클릭해서 적용시킨다. *192.168.111.2는 VM웨어에서 가상으로 제공하는 게이트웨이 + DNS 서버 역할을 하는 고정된 IP.. 2022. 12. 18. [네트워크/개념] DNS서버 공인된 DNS 서버 8.8.8.8과 8.8.8.4 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DNS 서버(네임 서버) 이다. 전 세계 어디서든 이 주소를 사용해도 된다. 이 외에도 KT (한국통신) 의 168.126.6.3.1 과 168.126.63.2 SK브랜드의 219.250.36.130과 210.220.163.82. LG유플러스의 164.126.101.2와 203.248.252.2를 사용한다, DNS 서버 역할 DNS서버역할은 URL 이름을 IP 주소로 변경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에서 http://www.nate.com을 입력하면 바로 네이트 홈페이지로 접속되는 것이 아니라 /etc/resolv.conf 파일에 설정된 DNS 서버에 www.nate.com URL의 IP 주소를 물어본다. DNS 서버가 해당 .. 2022. 12. 18. [명령어] 리눅스에서의 중요한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네트워크와 관련된 명령어는 많지만 주로 사용하는 명령어 위주로 포스팅 하겠습니다. nm-connection-editor 또는 nmtui nm-connection-editor에서 nm은 Network Manager의 약자이다. 그리고 nmtui는 Network Manager Text User Interface의 약자다. 네트워크와 관련되 작업의 대부분은 이 두 명령을 기반으로 실행할 수 있다. nm-connection-editor 또는 nmtui 명령으로 설정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자동 IP 주소 또는 고정 IP 주소 사용 결정 -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정보 입력 - DNS 정보입력 - 네트워크 카드 드라이버 설정 - 네트워크 장치(ens32 또는 ens333) 설정 systemc.. 2022. 12. 10. [개념] 네트워크 관련 필수 개념 정리 처음 네트워크를 접하는 사람이라면 좀 어렵게 리눅스, 서버관리가 느껴질 수 있으므로 모두 외우지 않더라도 계속 짤막짤막하게 보고. 나중에 CS 지식으로 남으면 좋으니 네트워크 관련되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TCP/IP 컴퓨터끼리 네트워크상으로 의사소통하는 약속을 '프로토콜'이라고 부르는데, 그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 종류 중 하나이다. 통신의 전송/수신을 다루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와 데이터 통신을 다루는 IP(Internet Protocol)로 구성 된다. 호스트 이름과 도메인 이름 호스트 이름은 각각의 컴퓨터에 지정된 이름을 말한다. 도메인 이름( 또는 도메인 주소)은 hanbit.co.kr 과 같은 형식으로 표기하며 kr은 한국, co는 회사, han.. 2022. 12. 8. [작동방법 / 명령어] 리눅스 프로그램 설치 명령어 프로그램 설치를 위한 명령어 : dpkg 초창기 리눅스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이 꽤 어려웠어서 데비안 리눅스에서 윈도우와 비슷하게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바로 실행할 수 있는 설치파일을 제작했다. 이것이 deb, 패키지라고 한다. 자주사용하는 dpkg 명령어 옵션 설치 dpkg -i 패키지 파일 이름.deb -i, -install = 패키지 설치 삭제 dpkg -r 패키지이름 -r 또는 -remove = 기존에 설치된 패키지 삭제 dpkg -P 패키지이름 -기존에 설치된 패키지 삭제 및 설정 파일까지도 모두 삭제 패키지 조회 dpkg -l 패키지 이름 설치된 패키지에 대한 정보를 보여줌 dpkg -L 패키지 이름 패키지가 설치한 파일 목록을 보여줌 deb 파일 내용 조회 dpkg --info 패키지.. 2022. 12. 8. [작동방법 / 명령어] 리눅스 파일 압축, 파일 위치 검색 파일압축과 묶기는 사용이 간단하고 앞으로 서버 구축부분에서 자주 다루게 된다. 파일 압축 리눅스에서 많이 보는 압축 파일의 확장명은 xz, bz2, gz, zip, Z 등이다 예전에는 주로 gz를 사용헀으나, 최근에는 압축률이 더 좋은 xz, ,bz2를 많이 사용하는 추세다. xz 확장명 xz로 압축하거나 풀어준다. 비교적 최신 압축 명령으로 압축률이 뛰어나다. xz 파일이름 해당 파일을 압축파일인 파일이름.xz로 만든다. 기존 파일은 삭제된다. xz -d 파일이름.xz (d는 Decompress를 의미) 압축을 풀어분다. xz -l 파일이름.xz (l은 List를 의미) 파일이름. xz 압축 파일에 포함된 파일 목록과 압출률 등 출력 xz -k 파일이름 (k는 Keep을 의미) 압축 후 기존 파일을 삭.. 2022. 12. 8. 이전 1 ··· 4 5 6 7 8 9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