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공부/네트워크 서버 구축(FTP, NFS, Samba 등)

[NFS서버 설치와 운영-3] NFS 클라이언트 접속 - NFS서버 설치와 운영

by 으노으뇨 2023. 2. 5.
728x90
반응형
SMALL

진행순서

  1. NFS서버 개념
  2. NFS서버 설치와 설정
  3. 클라이언트에서 접속

이렇게 총 3가지 순서로 진행하겠습니다.


다른 환경의 클라이언트에서 접속하기

NFS 서버에 접속해서 공유한 디렉터리를 사용해 보겠습니다.

sudo apt -y install nfs-common

 

명령을 입력하여 관련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설치가 완료된 모습

showmount -e NFS{서버IP주소}

명령을 입력하여 NFS 서버에 공유된 디렉터리를 확인해줍니다.

NFS 서버 공유 디렉터리 확인

이제 기존의 NFS 서버에서 만든 /share 디렉터리에 마운트할 디렉터리를 만들고 마운트합니다.

cd / #루트로 이동
mkdir myShare
mount -t nfs 192.168.111.100:/share myShare

NFS 서버에 마운트

이제 위처럼 /myShare 디렉터리를 사용하는 것은 NFS 서버의 /Share 디렉터리를 사용한다는 거소가 같은 의미입니다.

/share 디렉터리를 읽기 및 쓰기로 공유했으므로 우리가 직접 적당한 파일을 복사하고 다뤄보겠습니다.

이건 NFS 서버 구축이후 테스트용으로 만들어본 파일들


NFS 파일 테스트

좀더 직관적으로 보기위해 GUI 환경에서 테스트해보겠습니다.

공유된 폴더가 쿠분투 기존 파일익스플로어에 나온모습
텍스트파일을 새로만드는 모습
내용을 간단하게 작성한 모습


다시 NFS 서버로 돌아가서 파일 확인해보기

아까 쿠분투 환경에서 만든 텍스트 파일이 성공적으로 적용된 모습

gedit /share/ThisIsNFS.txt

명령으로 새로 txt 파일을 공유 폴더에 만든다. 그리고 내용을 간단하게 입력한다.

한글을 넣어서 NFS 파일내에 담아서 저장한다.
그랬더니 파일이 생긴모습
열어보니 내용이 그대로!!!!

그리고 이 파일의 내용을 수정하고 저장을 한다면

위와같이 비밀번호를 대야할 때가 있다. 권한에 대해서 해당 동작을 처리해야한다. 비밀번호 - 기본값은 우리 로그인할때 쓰는 비번 을 입력해주면 저장이 된다.

그렇게 수정이 완료되면 다시 NFS 서버에서 확인해보자.

수정전에 한번 cat으로 보았고, 수정이후 cat으로 수정된 내용을 확인했다.


NFS 서버의 디렉터리에 자동으로 마운트

sudo nano /etc/fstab

 명령으로 파일을 열고 제일 아랫줄에 다음 내용을 추가하고 저장한다.

192.168.111.100:share	/home/ubuntu/myShare	nfs	defaults	0	0

저장한 후 

reboot

명령으로 클라이언트를 재부팅한 다음 자동으로 nfs 공유 폴더가 마운트되었는지 확인해본다.

또 마운트된 디렉터리에 빈파일을 하나 생성해서 테스트를 하면 잘 작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