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공부/네트워크 서버 구축(FTP, NFS, Samba 등)

[Samba서버 설치와 운영-2] Windows에서 폴더 공유 설정 - Samba서버 설치와 운영

by 으노으뇨 2023. 2. 5.
728x90
반응형
SMALL

진행순서

  1. Samba서버 기초개념 설명
  2. (리눅스->윈도우즈)Windows에서 폴더 공유 설정
  3. (리눅스->윈도우즈)리눅스에서 Samba설치 후 접근
  4. (윈도우즈->리눅스)리눅스에서 Samba설치 및 설정
  5. (윈도우즈->리눅스)윈도우즈 설정 및 접근
  6. Samba서버 설정 파일

Windows 폴더 공유 셋팅

Windows 파일 탐색기에서

C:\smbShare\

라는 폴더를 만들고, 만든 폴더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다음 [속성]을 선택합니다.

[속성]의 [공유]탭에서 <공유> 를 클릭하고 Everyone 사용자를 선택한 다음 <추가>를 클릭합니다.

Everyone을 추가하고 권한을 수정한 모습

[사용 권한 수준]을 '읽기/쓰기' 로 설정해서 읽기/쓰기가 가능하도록 하고<공유>를 클릭합니다.

공유가 완료된 모습

최종적으로 '컴퓨터이름\smbShare'라는 네트워크 경로로 공유되었습니다.

공유한 폴더인 C:\smbShare\에 적당한 파일을 몇 개 만들어봅니다.

텍스트 파일 하나 만들었습니다.


리눅스가 접근을 할 수 있게 사용자 추가

윈도으즈 [시작] 버튼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windows Powershell 를 선택해서 파워셀을 관리자 모드로 실행한 후 다음 명령을 입력합니다.

net user root 1234 /add

실행 성공한 모습
root계정이 만들어진 모습

설정 > 가족 및 다른 사용자 > 기타 사용자에서 추가된 root 사용자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ipconfig

명령으로 Windows의 IP 주소를 확인합니다. 

내 IP를 확인한 모습


이렇게 윈도우즈 환경에서 공유폴더를 하나 생성하고 공유설정을 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리눅스 클라이언트에서 samba를 설치해서 공유폴더에 접근하는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