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공부/네트워크 서버 구축(FTP, NFS, Samba 등)

[Samba서버 설치와 운영-3] 리눅스에서 Samba 설치 후 접근 - Samba서버 설치와 운영

by 으노으뇨 2023. 2. 5.
728x90
반응형
SMALL

진행순서

  1. Samba서버 기초개념 설명
  2. (리눅스->윈도우즈)Windows에서 폴더 공유 설정
  3. (리눅스->윈도우즈)리눅스에서 Samba설치 후 접근
  4. (윈도우즈->리눅스)리눅스에서 Samba설치 및 설정
  5. (윈도우즈->리눅스)윈도우즈 설정 및 접근
  6. Samba서버 설정 파일

리눅스에서 Samba 설치

apt -y install samba-common smbclient cifs-utils

명령을 사용해서 관련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설치가 완료된 모습

이후 다음 명령을 입력해서 Windows에서 공유한 폴더 및 프린터가 보이는지 확인합니다.

여기 IP를 입력한다.

smbclient -L 192.168.111.133
이후 root 비밀번호 입력

WinClient에서 공유한 폴더와 프린트 확인

공유된 PC의 이름과 공유 폴더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명령을 입력해서 WinClient 에서 공유한 폴더 (smbShare)에 마운트할 디렉터리를 만들고 마운트합니다.

mkdir /sambaMount
mount -t cifs //192.168.111.133/smbShare /sambaMount

Samba 마운트 성공

이제 /sambaMount 디렉터리를 사용한다는 것은 WinClient 의 C:\smbShare\라는 폴더를 사용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됩니다.

sambaMount 폴더에 HelloWorld.txt 파일이 있다.

/sambaMount 디렉터리에 파일을 복사해두면 WinClient 의 파일 탐색기에서도 확인할 수 있게됩니다.


리눅스에서 파일생성해서 테스트

gedit /sambaMount/Linux.txt

명령으로 새로운 텍스트파일을 한번 생성해보겠습니다.

리눅스환경에서 공유폴더에 파일을 생성한 모습
윈도우즈 환경에서 파일이 생성된 모습
내용도 이상없이 잘 보인다.


이것으로 리눅스에서 윈도우즈의 공유폴더에 접근해보았습니다.

Samba를 이용해서 윈도우즈의 공유폴더에 접근이 가능했는데요

다음포스팅에서는 역으로 윈도우즈에서 리눅스의 공유폴더에 접근하는 방법을 포스팅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