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Spring boot 프로젝트 기록42

빌드 자동화 툴 : Gradle과 라이브러리~! Gradle은 빌드 자동화 툴이다. 빌드 자동화 툴을 이용하면, 컴파일, 라이브러리 다운로드, 패키징, 테스팅 등을 자동화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빌드 자동화는 왜 사용할까? 모든 자동화의 시작은 반복 작업에서 시작된다. 웹 어플리케이션을 만들려면 여러 가지 라이브러리가 필요하다. 빌드 자동화 툴이 없다면 라이브러리의 사용을 위해 라이브러리 사이트에서 jar파일을 다운로드받아야 한다. 그리고 이클립스의 Project빌드패쓰에 이 라이브러리를 추가해야 한다. 라이브러리를 추가하면 코드에서 이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다. 우리는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스프링 스타트 사이트에서 몇가지의 라이브러리를 추가했다. 이 사이트가없고 또 빌드 자동화 툴이 없다면 이 모든 라이브러리들을 특정 사이트들로 가서 jar파일을.. 2021. 11. 19.
실행, 라이브러리추가, 포스트맨 API추가 1. 애플리케이션 실행 이제 프로젝트를 실행해 보자, 파워셀이나 CMD를 실행해 프로젝트가 있는 디렉터리 경로로 이동하자 입력 예 : cd @@ 이걸로 본인의 그래들 프로젝트가 있는 경로로 간다.. 복붙하면 편하다 그다음 graglew bootRun을 쳐준다. 그럼 삥삥삥 돌아간다. 여담이지만 씨까~~~만 배경에 흰줄 쭉쭉나오고 멋져서 리눅스 공부한다고 책샀는데 바빠서 공부못하구있다... 계쏙 실행되다보면 뜬다. 의심여지없이 허용해주자. 멋진 분구들이 나온다. 기다리다보면 켜진다. 그러나 이걸 매번 cmd나 파워셀로 해야할까? 아니다. IDE에서 돌릴수 있다. 프로그램 익스플로어의 해당 프로젝트 오른쪽으로 누르고 -> run as -> spring boot app으로 실행시켜주자 그럼 콘솔창에 쭉쭉뜬다... 2021. 11. 18.
1. 백엔드 개발 환경설정 이번 글의 핵심은 1.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 설정 2. 빌드 자동화 툴을 이용한 라이브러리 설정 3. 롬복 4. 포스트맨을 이용한 API 테스팅 이렇다. 자바설치 최초 자바를 설치하는 것부터 시작을 하고 이클립스를 설치하는 것까지 해보겠다. 윈도우즈환경에서 개발한다면 윈도우 + r을 눌러 cmd를 실행해주자 그리고 java -version 을 눌러 자바 버전을 확인해 주자 필자는 현재 설치가 되어있어 16.0.1이 나타난다. 설치하지 못한사람들은 이화면이 안뜰것이다. 설치를 해주도록 하자 https://www.oracle.com/java/technologies/downloads/ 해당 사이트에서 다운을 받아보자, 이클립스 설치 https://www.eclipse.org/downloads/ Eclipse .. 2021. 11. 17.
배경지식(3) - 서버란? 서버란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지정된 포트, 예를 들어 8080포트에 소켓을 열고 클라이언트가 연결할 때까지 무한 대기하며 기다린다. 그러다가 클라이언트가 연결하면 해당 클라이언트 소켓에서 요청을 받아와 수행하고 응답을 작성해 전달한다. 아주간단한 서버 예를 보자 package org.spring.config; import java.net.ServerSocket; import java.net.Socket; public class WebServ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new WebServer().run(); } public void run() { try { ServerSocket serverSoket = new ServerSocket(8080).. 2021. 11. 16.
배경지식(2) - 자바스크립트 오브젝트 노테이션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은 문자열이다. 그냥 문자열이 아니고, 오프젝트를 표현하는 문자열이다. 그러면 오브젝를 왜 문자열로 표현해야하는가? 여기서 헷갈리지 않도록 오브젝트가 무엇인지 잠깐 짚고 넘어가자 오브젝트가 메모리상에 존재하는 어떤 자료 구조다. public class TodoItem{ String title; boolean done; public TodoItem(String title, boolean done){ this.title = tittle; this.done = done; } } 자바 클래스의 예로 이 클래스를 이용해 오브젝트를 생성하면 다음과 같다. new TodoItem("myTitle",false); 이렇게 생성한 오브젝트는 메모리 상에 아마도 아.. 2021. 11. 16.
배경지식(1) - HTTP 하이터 텍스트 트랜스퍼 프로토콜 HTTP는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많은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이 HTTP를 이용하고 우리 프로젝트도 HTTP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통신한다. 그런데 이 HTTP란 정확히 무엇일까??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이다. Transfer Protocol 이란 통신규약이라는 뜻이다. 그렇다면 하이터텍스트란 무엇인가? 맨처음 하이퍼 펙스트는 다른 문서로 향하는 링크가 있는 텍스트로 시작했다. 하이퍼 텍스트의 예로 우리에게 익숙하다. 왜냐하면 하이퍼텍스트는 지금도 많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문서 내에서 하이퍼텍스트를 지정하려면 특별히 하이터텍스트 마크업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물론! 시작이 이랬다는 것이다. 오늘날.. 2021. 11. 16.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