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리눅스공부99 [Samba서버 설치와 운영-3] 리눅스에서 Samba 설치 후 접근 - Samba서버 설치와 운영 진행순서 Samba서버 기초개념 설명 (리눅스->윈도우즈)Windows에서 폴더 공유 설정 (리눅스->윈도우즈)리눅스에서 Samba설치 후 접근 (윈도우즈->리눅스)리눅스에서 Samba설치 및 설정 (윈도우즈->리눅스)윈도우즈 설정 및 접근 Samba서버 설정 파일 리눅스에서 Samba 설치 apt -y install samba-common smbclient cifs-utils 명령을 사용해서 관련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이후 다음 명령을 입력해서 Windows에서 공유한 폴더 및 프린터가 보이는지 확인합니다. smbclient -L 192.168.111.133 이후 root 비밀번호 입력 공유된 PC의 이름과 공유 폴더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명령을 입력해서 WinClient 에서 공유한 폴더 .. 2023. 2. 5. [Samba서버 설치와 운영-2] Windows에서 폴더 공유 설정 - Samba서버 설치와 운영 진행순서 Samba서버 기초개념 설명 (리눅스->윈도우즈)Windows에서 폴더 공유 설정 (리눅스->윈도우즈)리눅스에서 Samba설치 후 접근 (윈도우즈->리눅스)리눅스에서 Samba설치 및 설정 (윈도우즈->리눅스)윈도우즈 설정 및 접근 Samba서버 설정 파일 Windows 폴더 공유 셋팅 Windows 파일 탐색기에서 C:\smbShare\ 라는 폴더를 만들고, 만든 폴더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다음 [속성]을 선택합니다. [속성]의 [공유]탭에서 를 클릭하고 Everyone 사용자를 선택한 다음 를 클릭합니다. [사용 권한 수준]을 '읽기/쓰기' 로 설정해서 읽기/쓰기가 가능하도록 하고를 클릭합니다. 최종적으로 '컴퓨터이름\smbShare'라는 네트워크 경로로 공유되었습니다. 공유한 폴.. 2023. 2. 5. [Samba서버 설치와 운영-1] Samba서버 기초개념 - Samba서버 설치와 운영 이번 포스팅의 주제는 Samba서버 설치와 운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진행순서 Samba서버 기초개념 설명 (리눅스->윈도우즈)Windows에서 폴더 공유 설정 (리눅스->윈도우즈)리눅스에서 Samba설치 후 접근 (윈도우즈->리눅스)리눅스에서 Samba설치 및 설정 (윈도우즈->리눅스)윈도우즈 설정 및 접근 Samba서버 설정 파일 한 대의 컴퓨터에 여러 운영체제를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보편화 되었습니다. 특히 Windows 계열과 리눅스/유닉스 계열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이렇게 서로 다른 운영체제 사이의 자원을 공유하려고 개발된 것이 Samba 서버입니다. Samba서버를 사용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리눅스/유닉스에서 Windows의 자원을 사용 Window.. 2023. 2. 5. [NFS서버 설치와 운영-3] NFS 클라이언트 접속 - NFS서버 설치와 운영 진행순서 NFS서버 개념 NFS서버 설치와 설정 클라이언트에서 접속 이렇게 총 3가지 순서로 진행하겠습니다. 다른 환경의 클라이언트에서 접속하기 NFS 서버에 접속해서 공유한 디렉터리를 사용해 보겠습니다. sudo apt -y install nfs-common 명령을 입력하여 관련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showmount -e NFS{서버IP주소} 명령을 입력하여 NFS 서버에 공유된 디렉터리를 확인해줍니다. 이제 기존의 NFS 서버에서 만든 /share 디렉터리에 마운트할 디렉터리를 만들고 마운트합니다. cd / #루트로 이동 mkdir myShare mount -t nfs 192.168.111.100:/share myShare 이제 위처럼 /myShare 디렉터리를 사용하는 것은 NFS 서버의 /Sha.. 2023. 2. 5. [NFS서버 설치와 운영-2] NFS 서버 설치 설정 - NFS서버 설치와 운영 진행순서 NFS서버 개념 NFS서버 설치와 설정 클라이언트에서 접속 NFS 서버 설치 apt -y install nfs-kernel-server 명령으로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nfs-kernel-server를 설치하면 NFS 운영을 위해 필요한 nfs-common, rpcbind 등도 함께 설치됩니다. NFS 서버 설정 gedit 이나 nano로 /etc/exports 파일을 수정합니다. gedit /etc/exports 공유할 디렉터리를 추가한 후 저장합니다. 입력한 내용의 의미는 /share 디렉터리에 해당 IP 주소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접근 권한은 Read와 Write를 모두 할 수 있도록 하라는 것입니다. IP 주소는 모두 사용해도 되지만 지금은 192.168.111.* 에 해당하는.. 2023. 2. 5. [NFS서버 설치와 운영-1] NFS 서버 개념 - NFS서버 설치와 운영 이번엔 파일서버의 다른 종류인 NFS 서버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고자합니다. 진행순서 NFS서버 개념 NFS서버 설치와 설정 클라이언트에서 접속 이렇게 총 3가지 순서로 진행하겠습니다. NFS 서버 개념 어려운 느낌의 개념은 다른 백서나 위키, 블로그를 참고하시면 되고 저는 초보자 비전공자, 아무런 관련이없는 사람들이 알아들을수 있고 면접시 누군가 물어보면 답할정도로 정리만 하고있습니다. 참고해주세요 파일서버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이는 우리가 사용하는 PC에는 여유공간이 별로없지만 다른 한곳에는 용량이 많다면 우리는 그 용량이 많은것을 공유 하고 싶어집니다. 또 서로 여유 공간이 있더라도 공통으로 사용되는 파일이라면 각자의 컴퓨터에 해당 파일을 모두 저장하기 보다는 1대의 PC에만 저장을하고 그것을 공유하.. 2023. 2. 5. [FTP서버 설치와 운영-3] ProFTPD 설치하고 운영 - FTP서버 설치와 운영 FTP (File Transfer Protocal)는 파일을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전용 서비스입니다. 예전에는 널리 사용하였으나, 웹환경이 일반화 되면서 FTP의 고유 기능인 파일 전송을 웹에서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되어서 인기가 많이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성능이 매우 뛰어나므로 파일 전송이 목적이 사이트에서는 이 서비스를 계속 제공하고 있다. [FTP서버 설치와 운영-1] FTP 서버 설치 및 환경설정 - FTP서버 설치와 운영 진행순서 vsftpd 설치와 설정 FTP 서버 접속 ProFTPD설치와 운영 ProFTPD 설치 apt -y install proftpd 명령으로 proftpd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환경설정 gedit /etc/proftpd/proftpd.conf 명령으로 설정으로 엽니다. 1.. 2023. 2. 1. [FTP서버 설치와 운영-2] FTP 서버 설치 및 환경설정 - FTP서버 설치와 운영 FTP (File Transfer Protocal)는 파일을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전용 서비스입니다. 예전에는 널리 사용하였으나, 웹환경이 일반화 되면서 FTP의 고유 기능인 파일 전송을 웹에서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되어서 인기가 많이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성능이 매우 뛰어나므로 파일 전송이 목적이 사이트에서는 이 서비스를 계속 제공하고 있다. [FTP서버 설치와 운영-1] FTP 서버 설치 및 환경설정 - FTP서버 설치와 운영 진행순서 vsftpd 설치와 설정 FTP 서버 접속 ProFTPD설치와 운영 FTP 서버 접속 프리웨어 FTP 클라이언트인 FileZilla를 사용해서 FTP 접속하고 업로드와 다운로드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https://filezilla-project.org 접속해서 최신의 .. 2023. 2. 1. [FTP서버 설치와 운영-1] FTP 서버 설치 및 환경설정 - FTP서버 설치와 운영 FTP (File Transfer Protocal)는 파일을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전용 서비스입니다. 예전에는 널리 사용하였으나, 웹환경이 일반화 되면서 FTP의 고유 기능인 파일 전송을 웹에서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되어서 인기가 많이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성능이 매우 뛰어나므로 파일 전송이 목적이 사이트에서는 이 서비스를 계속 제공하고 있다. [FTP서버 설치와 운영-1] FTP 서버 설치 및 환경설정 - FTP서버 설치와 운영 진행순서 vsftpd 설치와 설정 FTP 서버 접속 ProFTPD설치와 운영 vsfpd (Very Secure FTPD) 는 우분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며, 리눅스와 유닉스 환경에서 보안성과 성능이 우수한 FTP 서버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vsftpd는 설치, 운영이 쉬우므로.. 2023. 2. 1. [웹 서버 설정 파일과 폴더] 웹 서버 설정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 진행 순서 필수 소프트웨어 설치 및 환경설정 웹사이트 구축 클라우드 서비스 설치 및 운영 웹 서버 설정과 파일폴더 주로 헷갈리거나 리눅스 아파티 환경에서 주로 사용하는 설정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고급 웹 서비스를 구현하려면 웹 서버 설정 파일인 /etc/apache2/apache2.conf 파일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아파티 웹 설정은 /etc/apache2/ 디렉터리에 여러개의 파일로 분리, 저장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파일 및 디렉터리 구조를 가진다. 아파치 웹 서버의 주 설정 파일인 apache2.conf 의 주요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ServerRoot "/etc/apache2" 웹 서버의 설정 파일, 로그 파일 등이 저장되는 최상위 디렉터리 Listen 80 웹 서버의 포.. 2023. 1. 31. [클라우드서비스설치-4] 클라우드 서비스 관련패키지 설정 -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 진행 순서 필수 소프트웨어 설치 및 환경설정 웹사이트 구축 클라우드 서비스 설치 및 운영 웹 서버 설정과 파일폴더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 진행순서 필요 패키지 설치 https://uno-kim.tistory.com/342 환경설정 https://uno-kim.tistory.com/343 사용자쪽에서 접속https://uno-kim.tistory.com/344 테스트 [클라우드서비스설치-1] 클라우드 서비스 설치 및 운영 -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 진행 순서 필수 소프트웨어 설치 및 환경설정 웹사이트 구축 클라우드 서비스 설치 및 운영 웹 서버 설정과 파일폴더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 진행순서 필요 패키지 설치 환경설정 사용자쪽에서 uno-kim.tistory.com [클라우드서비스설치-2] 클라우드 서비스 관련.. 2023. 1. 31. [클라우드서비스설치-3] 클라우드 서비스 설치 및 운영 -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 진행 순서 필수 소프트웨어 설치 및 환경설정 웹사이트 구축 클라우드 서비스 설치 및 운영 웹 서버 설정과 파일폴더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 진행순서 필요 패키지 설치 https://uno-kim.tistory.com/342 환경설정 https://uno-kim.tistory.com/343 사용자쪽에서 접속 테스트 [클라우드서비스설치-2] 클라우드 서비스 관련패키지 설정 -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 진행 순서 필수 소프트웨어 설치 및 환경설정 웹사이트 구축 클라우드 서비스 설치 및 운영 웹 서버 설정과 파일폴더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 진행순서 필요 패키지 설치 https://uno-kim.tistory.com/342 uno-kim.tistory.com [클라우드서비스설치-1] 클라우드 서비스 설치 및 운영 - 클라.. 2023. 1. 31. 이전 1 2 3 4 5 ··· 9 다음 728x90 반응형 LIST